전문가들 "4월 금리인하 기정사실…성장률 전망 더 내릴 수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2.27 16:04

2월 일평균 수출 마이너스 전환…"코로나19 영향력 명확"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한은)


한은이 예상을 깨고 27일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전문가들은 "금리인하 시기가 미뤄졌을 뿐 4월 인하는 기정사실"이라고 입을 모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위축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한은이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연 1.25%로 동결하자 전문가들은 4월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이 벌써 가시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출만 보더라도 대중국 수출 증가율이 축소되며 2월 일평균 수출 증가율은 마이너스로 한 달 만에 반전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배경은 ‘코로나19의 악영향은 불확실하지만 부동산 문제는 확실한 리스크’라고 요약할 수 있다"며 "한은이 경기 불확실성보다는 부동산 관련 금융 불안전성에 초점을 뒀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내수가 급격히 축소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의 1분기 재정 효과가 코로나19로 잠식되고 있다"며 "향후 상당한 경기 하방 압력이 있을 것으로 보여 한은이 4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이날 코로나19 영향으로 실물경제 위축이 실제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상당 부분 1분기에 집중돼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3%에서 2.1%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올해 3월 코로나19가 정점을 이룬 뒤 점차 진정세로 접어들 것이란 전제를 바탕으로 했다고 이 총재는 설명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월 2.6%에서 지난해 7월 2.5%, 지난해 11월 2.3% 등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4%로 기존 수준을 유지했다. 강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은 1.6%로 전망한다"며 "이날 조정 후에도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추가로 하향 조정하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원 또한 "당초 예상과 달리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잠시 뒤로 미룬 것에 불과하다"며 "4월 금통위에서 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국내경제 불확실성이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금리인하는 불가피한 선택일 것이란 설명이다. 

그는 "한은이 코로나19가 국내경제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충격이 과거 전염병 사례보다 크다고 인정하면서도 통화정책 대응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시장 예상보다 한은의 통화정책 여력이 더 제한적일 수 있다는 의미"라며 "4월 금리인하 이후 추가 금리인하 기대감은 크게 약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두고도 "코로나19가 장기화된다면 추가 하향 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4월 금리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코로나19의 진행 추이는 불확실하지만, 영향력은 불확실하지 않다"며 "일평균 수출액이 감소 반전했고, 각종 심리 지표가 부진하다"고 분석했다. 또 "올해 성장률 반등의 상당 부분이 반도체 등 수출 증가와 기저 효과, 정부 지출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성장률 전망치 추가 하향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이주열 총재 역시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지금의 경제 전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그는 "현재 우리 경제에 가장 큰 애로요인은 코로나19의 확산"이라며 "과거 다른 어떤 감염병 사태보다 충격이 크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도 한은은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영해 나가겠다"며 "이 과정에서 완화정도 조정 여부는 코로나19의 확산 정도와 영향, 금융안정상황의 변화와 효과, 부작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