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최윤지 기자] 지난해 국내에 규모 2.0 이상 지진이 총 88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을 제외하면 대구·경북지역에서 가장 많은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은 ‘2019 지진연보’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지진연보는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의 △목록 △진앙분포도 △지진파형 등의 분석결과를 담고 있다.
지난해 한반도 및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88회로 2016년 이후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평균(1999~2018년)보다는 여전히 높은 특성을 보인다.
이는 디지털 관측 기간(1999~2018년) 연평균(69.9회)의 약 1.3배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국민이 진동을 느낄 수 있는 규모 3.0 이상의 지진도 총 14회로, 2018년(5회) 및 평균(10.9회)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2019년 4월 19일 11시 16분경,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3의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인해 강원도 지역에 최대진도 Ⅳ, 경북지역 최대진도 Ⅲ, 경기·충북에 최대진도 Ⅱ가 관측됐으며, 수도권까지 유감신고가 접수됐다.
지난해부터 기상청 누리집으로 공개한 미소지진(규모 2.0 미만)은 한반도 전역에서 957회가 발생했으며, 대구·경북 지역(해역 제외)에서 총 260회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지진연보는 2001년부터 매해 발간되는 간행물로, 지진연보는 기상청 누리집에서 볼 수 있다. 1978년부터 2000년까지의 지진 현황은 ‘지진관측보고(2001)’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