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참여' LNG 캐나다 이중고...주민 반대 이어 코로나 직격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3.20 11:21

코로나19 확산 방지 위해 공사 참여 인력 반으로 줄여

▲한국가스공사.


[에너지경제신문=송재석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참여하는 LNG 캐나다 프로젝트가 주민 반대에 이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아 이중고를 겪고 있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에너지 업체 트랜스 에너지(TC Energy)는 현재 추진 중인 LNG 캐나다 프로젝트에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공사 투입 인력을 반으로 줄였다. 

트랜스 에너지는 자사 웹사이트에 성명을 내고 "키티마, 테라스 및 주변 지역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과 한국, 이태리를 포함한 다른 국가로의 직원 및 계약자 출장은 한달간 제한했다"며"바이러스 확산을 줄이기 위해 신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프로젝트 투입 근로자 수를 반으로 줄이고, 현장 보안 및 환경관리를 위해 꼭 필요한 인력만 근무하는 등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스탈 가스 링크' 라는 이름으로 진행중인 이 프로젝트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서부 도슨크릭시에서 북부 키티마 지역을 가로지르는 67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사업비만 약 66억 캐나다달러(약 5조8000억원)에 이른다.

▲가스공사가 참여하고 있는 LNG 캐나다 프로젝트. (사진=가스공사)


LNG 캐나다는 트랜스 에너지와 운송 계약을 맺고 파이프라인을 통해 가스를 공급받는다. 캐나다 서부 해안에 짓고 있는 액화플랜트에서 가스를 액화·수출한다. 

LNG 캐나다는 한국가스공사(5%)와 미국 쉘(40%),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페트로나스(25%), 일본 미쓰비시(15%), 중국 페트로차이나(15%)가 지분을 보유한다. 

일각에서는 이번 트랜스 에너지의 인력 축소 조치가 주민 반대를 의식한 행보라는 시각도 있다. 이 프로젝트는 공사 초기 단계부터 캐나다 원주민의 사업 반대에 부딪혀 난항을 겪었다. 

당초 트랜스 에너지는 당국의 허가를 받아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계획이었으나 현지 원주민의 반대에 부딪혀 사업 진전에 어려움을 겪은 것. 

원주민들은 파이프라인 건설로 거주지를 빼앗기며 심각한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트랜스 에너지의 직원들이 공사 현장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도로를 봉쇄하는 시위를 벌였다.

원주민의 반대로 공사가 지연되자 결국 캐나다 법원까지 나서 중재했지만, 원주민들이 이를 거부하면서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송재석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