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젠이텍스, 제약·유전체 사업부분 분할…"바이오 자회사 신설"
[에너지경제신문 이나경 기자] 테라젠이텍스가 제약과 유전체 사업부문을 분할해 비상장 법인인 ‘테라젠바이오(가칭)’를 신규 설립하기로 확정했다.
테라젠이텍스는 26일 경기도 안산 본사 인근에서 제30기 주주총회를 개최해 이와 관련한 안건을 비롯해 류병환, 황태순 대표이사 재선임과 제무제표 승인 등 5개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테라젠이텍스는 지난달 27일 이사회를 통해 단순·물적분할 방식의 법인 분할을 결의하고, 이를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한 바 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가 승인됨에 따라, 존속하는 제약 사업부문이 신설되는 테라젠바이오 주식 100%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법인 분할을 진행하게 된다. 분할 기일은 오는 4월 30일이다.
테라젠이텍스는 양 사업부문은 이미 2010년 합병 당시부터 별도 사옥에서 각자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에 분할에 따른 구조적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있다.
테라젠이텍스 관계자는 "이번 분할로 재무적 리스크를 분산해 안정적인 재무제표를 유지하면서도, 공격적 투자 유치 등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혁신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분할 후 제약 사업부문은 기존의 의약품 생산, 유통 사업을 캐시카우 삼아, 합성의약품 분야를 중심으로 루게릭병 및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 등 신약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유전체 사업부문은 10년간 축적한 유전체 분석 기술력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및 신생항원 등을 활용한 신약 개발과 맞춤형 항암 치료 연구를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앞으로도 양 사업부문은 모기업과 자회사로서의 지배구조 및 연구개발 분야 협력 관계를 공고히 유지할 방침이다. 특히 AI(인공지능) 및 유전체 활용 신약 개발과 그룹 전략 및 기획 업무 등을 공동 추진한다.
비상장 법인이 되는 테라젠바이오는 재무적 파트너와 협력해 파이프라인 연구를 진척시키고 기업 가치를 향상시켜 코스닥 시장에 재상장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분할로 자산과 자본 등은 변동되지 않으며, 최대주주의 소유 주식과 지분율, 발행 주식 총수, 연결재무제표 등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이나경 기자 nakyeong@ekn.kr
![]() |
▲26일 경기도 안산 테라젠이텍스 본사 인근에서 진행된 제 30기 테라젠이텍스 주주총회 모습. |
테라젠이텍스는 26일 경기도 안산 본사 인근에서 제30기 주주총회를 개최해 이와 관련한 안건을 비롯해 류병환, 황태순 대표이사 재선임과 제무제표 승인 등 5개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테라젠이텍스는 지난달 27일 이사회를 통해 단순·물적분할 방식의 법인 분할을 결의하고, 이를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한 바 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가 승인됨에 따라, 존속하는 제약 사업부문이 신설되는 테라젠바이오 주식 100%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법인 분할을 진행하게 된다. 분할 기일은 오는 4월 30일이다.
테라젠이텍스는 양 사업부문은 이미 2010년 합병 당시부터 별도 사옥에서 각자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에 분할에 따른 구조적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있다.
테라젠이텍스 관계자는 "이번 분할로 재무적 리스크를 분산해 안정적인 재무제표를 유지하면서도, 공격적 투자 유치 등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혁신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분할 후 제약 사업부문은 기존의 의약품 생산, 유통 사업을 캐시카우 삼아, 합성의약품 분야를 중심으로 루게릭병 및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 등 신약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유전체 사업부문은 10년간 축적한 유전체 분석 기술력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및 신생항원 등을 활용한 신약 개발과 맞춤형 항암 치료 연구를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앞으로도 양 사업부문은 모기업과 자회사로서의 지배구조 및 연구개발 분야 협력 관계를 공고히 유지할 방침이다. 특히 AI(인공지능) 및 유전체 활용 신약 개발과 그룹 전략 및 기획 업무 등을 공동 추진한다.
비상장 법인이 되는 테라젠바이오는 재무적 파트너와 협력해 파이프라인 연구를 진척시키고 기업 가치를 향상시켜 코스닥 시장에 재상장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분할로 자산과 자본 등은 변동되지 않으며, 최대주주의 소유 주식과 지분율, 발행 주식 총수, 연결재무제표 등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이나경 기자 nak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