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와 통화한 文대통령, 'G7 초청' 화답...대중관계 '물음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6.02 07:50

▲문재인 대통령(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우)(사진=연합)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초청과 관련해 "기꺼이 응하겠다"며 "G7을 대면 확대정상회의로 개최하면 포스트 코로나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이 대중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1일 밤 트럼프 대통령과 15분간 전화통화에서 "올해 G7 정상회의 주최국으로서 한국을 초청해 주신 것을 환영하고 감사드린다"며 "G7 정상회의 초청에 기꺼이 응하고 방역과 경제 방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G7(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체제에 대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며 "이를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문 대통령의 의견을 물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며 "G7 체제 전환에 공감하며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올해 G7의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적절한 시기에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1개국 외에 브라질을 포함해 G12로 확대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은 "인구, 경제규모, 지역대표성 등을 고려할 때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생각"이라며 "그런 방향으로 노력을 해보겠다"고 답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당초 이달 예정됐던 G7 정상회의를 연기하고 비(非) G7인 한국과 호주, 러시아, 인도도 초청하고 싶다며 주요 11개국(G11) 등으로의 체제 전환 의사를 기자들에게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정상회의 소집 시기와 관련, 9월 열리는 뉴욕 유엔총회 전후나, 그렇지 못할 경우 오는 11월 미 대선 이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G7 이번 회의가 대(對)중국 견제수단으로 작동할 경우 경제위기 극복에 부담이 되는 만큼 신중을 기할 것이라는 일각의 관측을 깨고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즉각 응답했다. 이는 개방·투명·민주라는 3원칙을 바탕으로 'K방역'이라는 성과를 거둔 데 이어 경제위기 대응, 나아가 전 세계의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선도해 또 한 번 한국의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혈맹인 미국이 보낸 초청장이라는 점과 함께 이 체제에 편입한다면 명실상부한 선진국 대열에 오를 수 있는 점을 감안해 과감하게 결단을 내렸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문제는 이번 발언이 대중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G7 회의를 사실상 반(反)중국 세력을 결집할 무대로 활용할 태세다. G7 체제의 확대 구상을 밝히면서도 G11 또는 G12에 중국을 거론하지 않은 점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시점에서 G7 회의에 참석한다면 가까스로 잠재운 한중 갈등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

한편 이날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미국의 첫 민간 유인우주선 '크루 드래건'호의 발사 성공에 대해 "인류에게 큰 꿈을 심어준 매우 멋진 일"이라며 "미국이 민간 우주탐사 시대라는 또 다른 역사를 열었다"고 평가했다.
   
한미정상의 통화는 문 대통령 취임 후 25번째이자 올해 들어 세 번째이며, 총선 직후인 4월 18일 통화한 이후로는 44일 만이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박성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