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하원 135인에 서한 전달
"한국전쟁 지원법·한국 원조 승인 등 감사"
![]() |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국전쟁 70주년인 올해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허창수 회장 명의로 미국 공화당 척 그래슬리 의원(상원), 케빈 맥카시 의원(하원), 민주당 버니 샌더스(상원), 낸시 펠로시 의장(하원) 등 상하원 135인(의회 상임위 간부 및 코리아 코커스 회원)에게 한국전쟁에서 미국 국민의 희생에 대한 감사 서한을 전달했다고 4일 밝혔다.
허창수 회장은 "코로나19로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을 미국 국민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면서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70년이 지났지만 강철과 같은 한미동맹으로 한반도의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체제를 지켜낼 수 있었다"고 평했다.
이어 "179만 명에 이르는 미국의 젊은 청년들이 알지도 못하는 나라에 와서 피를 흘리고 목숨을 잃으며 싸워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켜냈다"면서 "그 희생으로 다진 귀중한 자유 위에서 한국은 경제 발전의 초석을 다질 수 있었고, 오늘날 한국이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클럽에 가입한 경제대국으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허 회장은 70년 한미동맹이 맺어준 양국의 경제동맹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019년 교역액 기준 한국은 미국의 6대 교역국(미국은 한국의 2대 교역국)으로 1970년 10억 달러에 그치던 양국 교역규모는 2019년 140배가 넘는 약 1400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의 무상원조를 받던 한국의 대미국 역대 누적투자는 1208억 달러에 이르며 미국의 대한국 누적투자금액인 840억 달러를 뛰어넘었다. 허 회장은 "미국에 무상원조를 받던 나라가 미국 FDI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게 됐다"면서 "삼성, 현대차, LG, 롯데, GS 등 한국기업이 이제는 미국의 기업시민으로서 지역사회와 함께 호흡하고 있다"고 밝혔다.
허 회장은 또한 한국전쟁 전후 미의회의 구체적 업적에 대해서도 감사의 뜻을 표했다. 1950년 81대 미 의회는 한국전쟁 당시 물자 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통령에게 주요 물품의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국방물자생산법’을 제정했다. 또한 미국의 무상 원조 금액은 1945년부터 1999년까지 총 55억 달러에 이른다. 1953년 한국의 국민소득에서 대외 경제원조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가까웠다. 허 회장은 당시 여러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무상원조를 승인한 미 의회의 결정이 매우 현명했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2008년 미 의회는 미국 내 ‘한국전쟁전우회’에 ‘연방정부 승인’을 부여하는 법안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보훈처와 미 의회 관련 위원회 활동에 전우회의 참여가 가능해졌고,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복지 향상에도 도움이 됐다. 허 회장은 한국 땅에서 피땀 흘린 미국 용사들에 대한 예우를 잊지 않는 미 의회에 대한 감사의 뜻과 함께 앞으로도 한국 기업들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잊지 않고 양국 경제협력에 힘쓰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한편 전경련은 오는 18일 22개국 참전국 대사를 초청해 감사오찬을 주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