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70주년…전경련 허창수 회장 "179만 美청년 희생 감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6.04 09:30

美 상하원 135인에 서한 전달
"한국전쟁 지원법·한국 원조 승인 등 감사"


전경련 허창수 회장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국전쟁 70주년인 올해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허창수 회장 명의로 미국 공화당 척 그래슬리 의원(상원), 케빈 맥카시 의원(하원), 민주당 버니 샌더스(상원), 낸시 펠로시 의장(하원) 등 상하원 135인(의회 상임위 간부 및 코리아 코커스 회원)에게 한국전쟁에서 미국 국민의 희생에 대한 감사 서한을 전달했다고 4일 밝혔다.


허창수 회장은 "코로나19로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을 미국 국민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면서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70년이 지났지만 강철과 같은 한미동맹으로 한반도의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체제를 지켜낼 수 있었다"고 평했다.

이어 "179만 명에 이르는 미국의 젊은 청년들이 알지도 못하는 나라에 와서 피를 흘리고 목숨을 잃으며 싸워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켜냈다"면서 "그 희생으로 다진 귀중한 자유 위에서 한국은 경제 발전의 초석을 다질 수 있었고, 오늘날 한국이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클럽에 가입한 경제대국으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허 회장은 70년 한미동맹이 맺어준 양국의 경제동맹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019년 교역액 기준 한국은 미국의 6대 교역국(미국은 한국의 2대 교역국)으로 1970년 10억 달러에 그치던 양국 교역규모는 2019년 140배가 넘는 약 1400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의 무상원조를 받던 한국의 대미국 역대 누적투자는 1208억 달러에 이르며 미국의 대한국 누적투자금액인 840억 달러를 뛰어넘었다. 허 회장은 "미국에 무상원조를 받던 나라가 미국 FDI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게 됐다"면서 "삼성, 현대차, LG, 롯데, GS 등 한국기업이 이제는 미국의 기업시민으로서 지역사회와 함께 호흡하고 있다"고 밝혔다.

허 회장은 또한 한국전쟁 전후 미의회의 구체적 업적에 대해서도 감사의 뜻을 표했다. 1950년 81대 미 의회는 한국전쟁 당시 물자 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통령에게 주요 물품의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국방물자생산법’을 제정했다. 또한 미국의 무상 원조 금액은 1945년부터 1999년까지 총 55억 달러에 이른다. 1953년 한국의 국민소득에서 대외 경제원조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가까웠다. 허 회장은 당시 여러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무상원조를 승인한 미 의회의 결정이 매우 현명했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2008년 미 의회는 미국 내 ‘한국전쟁전우회’에 ‘연방정부 승인’을 부여하는 법안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보훈처와 미 의회 관련 위원회 활동에 전우회의 참여가 가능해졌고,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복지 향상에도 도움이 됐다. 허 회장은 한국 땅에서 피땀 흘린 미국 용사들에 대한 예우를 잊지 않는 미 의회에 대한 감사의 뜻과 함께 앞으로도 한국 기업들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잊지 않고 양국 경제협력에 힘쓰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한편 전경련은 오는 18일 22개국 참전국 대사를 초청해 감사오찬을 주최할 계획이다.



김민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