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벙커링 합작회사' 설립...가스公·부산항만공사 등 6개사 참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7.14 13:17

국내 천연가스·화주·정유·항만·물류 분야 대표 기업 참여...안정적 LNG 벙커링 수요확보 기대

▲한국가스공사를 비롯해 부산항만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 에쓰-오일, 대우로지스틱스), 현대글로비스 등 6개가 14일 LNG 벙커링 합작회사 설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민·관 공동 LNG 벙커링 합작회사가 출범한다.

한국가스공사(사장 채희봉)는 14일 부산항만공사(사장 남기찬) 등 5개사와 LNG벙커링 합작회사 설립을 위한 ‘LNG 벙커링 합작회사 설립 추진위원회 협약 서명식’을 가졌다.

설립 예정인 LNG벙커링 합작회사에는 가스공사, 부산항만공사를 비롯해 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이사 주시보), 에쓰-오일(사장 류열), 대우로지스틱스(대표이사 양석훈), 현대글로비스(상무 이성철)가 참여한다.

앞으로 이들 6개사는 설립추진위원회 구성을 위한 사업계획 등을 확정하고, 10월까지 합작회사 설립을 완료할 방침이다.

가스공사는 지난해부터 전략적 주주가 참여하는 LNG 벙커링 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해 왔다. 이번 협약으로 국내 천연가스·화주·정유·항만·물류 분야 대표 기업들이 함께 안정적인 LNG 벙커링 수요 확보와 중장기 경쟁력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가스공사는 ‘LNG 벙커링 합작회사’를 통해 2030년까지 선박용 LNG 136만 톤 판매 및 매출 약 1조 원을 달성하고 황산화물 8315톤·미세먼지 2557톤을 저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동해와 남해 벙커링선 2척, 서해 벙커링선 1척, 당진 LNG 인수기지 선적설비 1식을 확보해 전국 항만을 대상으로 LNG 벙커링 사업을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LNG 벙커링 합작회사 설립을 위한 협약식에서 한국가스공사 채희봉 사장(오른쪽)이 서명을 하고 있다.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은 "LNG 벙커링 합작회사 설립은 최근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해양환경 규제에 선제 대응할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조선·해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LNG가 선박 수송용 연료로 자리 잡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1월 해양환경관리법 개정, 4월 항만대기질법 제정 등 관련법을 정비해 영해 및 국내 6대 항만에서 선박 연료에 대한 황 함유량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제13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에 가스공사가 LNG 벙커링 설비를 선도 구축한다는 계획을 반영한바 있다.

선박 배출가스에 대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는 추세에서 선박 연료로 LNG를 공급하는 ‘LNG벙커링’ 사업은 친환경 신사업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LNG 벙커링은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항만에 접안하면 즉시 LNG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LNG는 기존 선박용 연료 대비 황산화물(SOx)과 분진 배출은 100%, 질소산화물(NOx) 배출은 15~80%, 이산화탄소(CO2) 배출은 20%, 미세먼지는 91%까지 줄일 수 있어 선박용 국제환경기준을 충족하는 친환경 연료로 평가받는다.

최근 해양환경 규제와 맞물려 국내 LNG 벙커링 수요도 2022년 연간 31만톤, 2030년 연간 136만 톤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연숙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