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 |
은행 예금금리가 사상 처음 0%대로 하락했다. 가계대출 금리도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처음으로 2%대로 내렸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권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0.89%로 전월에 비해 0.18%포인트 내렸다. 0%대 금리는 1996년 1월 통계 작성 후 처음이다. 한은은 시장금리 하락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순수저축성예금 금리(0.88%), 시장형금융상품 금리(0.92%) 모두 0%대를 보였다. 6월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권 정기예금 중 0%대 금리 상품의 비중은 67.1%로 역대 가장 높았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0.5%까지 내리며 금리가 0%대인 정기예금 비중이 급증했다.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권 대출금리는 2.72%로 전월 대비 0.10%포인트 내렸다. 가계대출 금리는 2.67%로 0.14%포인트 내려 사상 최저치를 보였다. 이중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3.33%에서 2.93%로 사상 처음 2%대까지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역시 역대 최저치다. 5월 2.52%에서 6월 2.49%까지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주택거래가 늘어나며 일반신용대출도 늘었다"며 "보통 주택거래 관련 차주들이 일반신용대출 차주보다 우량 차주의 비중이 큰데, 6월에는 우량 차주 비중이 커지며 일반신용대출 금리가 좀 더 큰 폭으로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정할 수는 없겠지만 6·17 부동산대책 전후로 주택 매매와 전세 거래가 늘어나며 일반신용대출도 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자료=한국은행. |
기업대출 금리는 2.83%에서 2.75%로 떨어져 역시 역대 최저치를 보였다. 대기업 대출 금리도 2.75%에서 2.54%로 0.21%포인트 하락했다. 단 중소기업대출 금리는 2.88%에서 2.90%로 소폭 올랐다. 대기업 대출 금리는 시장 금리 하락과 고금리 대출 취급 효과 소멸 영향으로 떨어졌지만,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저금리 대출 비중이 줄며 상승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은행 수익과 직결되는 예대 마진(대출금리와 저축성 수신금리 차이)은 신규 취급액 기준 1.83%포인트로, 0.08%포인트 확대됐다. 2018년 7월 1.85%포인트 후 가장 크다.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2.12%포인트에서 2.10%포인트로 소폭 줄었다.
제2금융권 예금금리 역시 일제히 하락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상호저축은행(1.92%) 0.07%포인트, 신용협동조합(1.79%) 0.07%포인트, 상호금융(1.21%) 0.13%포인트, 새마을금고(1.74%) 0.05%포인트 모두 떨어졌다.
대출금리는 새마을금고를 제외하고 모두 내렸다. 일반대출 금리는 상호저축은행이 9.76%, 신용협동조합 4.01%, 상호금융 3.50%, 새마을금고 4.17%였다. 상호저축은행은 0.04%포인트, 신용협동조합은 0.03%포인트, 상호금융은 0.09%포인트 각각 내렸으며, 새마을금고는 0.06%포인트 올랐다.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