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분기 -3.3% 역성장…성장률 OECD 14개국 중 2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8.02 07:55

중국 11.5% 이어 2위…코로나 회복속도 빨라
3분기엔 2분기보다 1.3% 성장…V자 반등 기대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올해 2분기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3.3% 급락했지만 현재까지 2분기 성장률을 발표한 14개국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분기 한국 성장률은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발표한 13개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인 중국 등 14개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다. 중국은 2분기에 11.5% 성장해 단연 1위를 차지했다. 코로나19 사태를 가장 빨리 겪고 가장 빨리 빠져나온 결과다.

OECD는 36개 회원국의 성장률을 집계한다. 중국, 러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6대 신흥국은 회원국은 아니지만 성장률을 함께 집계·발표한다. 한국은 중국에 뒤졌지만 미국(-9.5%), 독일(-10.1%), 프랑스(-13.8%), 이탈리아(-12.4%), 스페인(-18.5%)보다 감소폭이 작았다. 북미와 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은 -10% 안팎, 또는 그보다 못한 성장률을 기록했다. 멕시코(-17.3%)와 같은 신흥국 성장률도 부진했다. 최근 성장률을 발표한 14개국의 2분기 성장률 평균은 -9.6%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GDP 감소폭 절대치로만 보면 한국 경제가 이번 위기에 따른 피해를 다른 국가의 20∼30% 수준으로 최소화했다"며 "한국 GDP 감소폭은 다른 국가에 비해 훨씬 작다"고 평가했다.

과거 우리나라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4분기 -3.3%를 기록하면서 위기의 진원지인 미국(-2.2%)보다 나빴고 일본(-2.4%), 독일(-1.6%)보다도 낮았다. 대신 2009년 1분기 0.1%, 2분기 1.3%, 3분기 3.0%로 확연한 반등세를 보였다. 당시 중국의 고공 성장을 바탕으로 한국의 수출 지표가 크게 개선된 영향이다. 반면 미국은 2009년 1분기(-1.1%), 2분기(-0.1%) 내리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이다 3분기(0.4%)에 가서야 플러스 전환했다.

코로나19가 닥친 올해는 다르다. 한국은 셧다운(봉쇄)을 하지 않아 극단적인 소비 위축이 발생하지 않았고, 중국이 경기 급반등에 성공하며 소비재, 자본재를 수입한 효과도 있었다.

6월 수출은 한 해 전보다 10.9% 감소하며 4월(-25.5%), 5월(-23.6%)보다 감소 폭을 줄였는데, 대(對)중 수출이 9.5% 증가하며 플러스 전환한 영향이 컸다. 7월 수출은 감소율이 7.0%로 회복 기조를 이어갔다.

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14개 해외 경제연구기관·투자은행(IB)은 한국의 올해 3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전기 대비)를 평균 1.3%로 보고 있다. 3분기 GDP가 2분기보다 1.3% 늘어난다는 것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역성장 국면을 일단 벗어나는데 의미가 있다. 한국의 GDP 성장률은 1분기 -1.3%에 이어 2분기에는 -3.3%를 기록한 바 있다. 1분기에 하락 전환한 경기가 2분기에 더 큰 폭으로 급전직하한 후 3분기에는 반등을 하는 것이다.

박석길 JP모건 본부장은 "한국은 ‘락다운’ 없이 감염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됐고 중국이 코로나19 위기를 빨리 탈출하면서 한국 2분기 성장률은 글로벌 평균보다 견조하게 나왔다"고 평가하면서도 "중국과 같이 큰 폭의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