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계 필수지출 비중 40.6%...20년 만에 최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8.02 09:22

▲서울의 한 대형마트.(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가계 필수지출 비중이 2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꼭 필요한 물건이 아니면 지갑을 열지 않았다는 의미다.

2일 한국은행의 가계 목적별 최종소비지출(명목)을 보면 올해 1분기 4대 필수 지출 품목의 지출은 84조8166억원이다.
    
1분기 가계의 전체 국내 소비지출(209조1331억원)의 40.56%를 차지한다.
    
4대 필수 지출 품목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넘은 것은 1999년 4분기(40.29%) 이후 약 20년 만에 처음이다.

1분기 필수 지출 품목의 비중은 작년 4분기(37.51%)보다 3%포인트 넘게 커졌는데, 직전 분기 대비로 필수 지출 품목 비중이 3% 넘게 상승한 것은 1976년 1분기(3.23%포인트) 이후 처음이다.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은 모두 12개 항목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필수 지출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식생활 관련 지출), 임대료 및 수도 광열(전·월세·수도·관리비 등), 가계시설 및 운영(가구·가전 등), 의료 보건(병원비 등) 등 4개 항목이다.

주류 및 담배, 의류 및 신발, 교통, 정보 통신, 오락·스포츠 및 문화, 교육, 음식·숙박 등 다른 항목은 상황에 따라 비교적 무리 없이 줄일 수 있는 것들이다.
    
1970년 통계 집계 이래 1990년 중반까지는 필수 지출 항목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체로 40∼50%로 컸다.
    
그러나 국민의 소득 수준 향상으로 다양하게 소비가 이뤄지면서 필수지출 비중도 감소했다.

필수지출 비중은 2000년대에는 35% 수준에서 머무르다 2010년대에 소폭 올라 37% 언저리를 맴돌았다.
    
2008년 1분기에는 35.36%로 역대 최저 비중을 기록하기도 했다.
나유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