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래 NH농협금융그룹 디지털부문장이 6일 서울 중구 농협금융 본사 회의실에서 열린 ‘농협금융 디지털 빅데이터 플랫폼’ 컨설팅 착수 보고회에서 당부의 말을 하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NH농협금융그룹은 계열사의 금융데이터와 농협경제지주 유통 데이터를 결합하고, 동시에 외부 디지털 정보를 접목하기 위해 6일 ‘농협금융 디지털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시작했다.
농협금융 디지털 빅데이터 플랫폼은 기존 금융정보에 한정된 빅데이터 활용 방식을 넘어서기 위해 구축하는 것이다. 농협금융만의 강점인 하나로마트·NH멤버스 등 유통 데이터를 확보해 금융 데이터와 연계하고, 한발 더 나아가 외부 비식별 정보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확보된 데이터에 애드테크, 마켓센싱 등 최신 데이터 분석기술을 접목해 고객의 ‘금융·소비·디지털(Digital)채널 이용행태’를 융합한 농협금융만의 차별적인 고객 분석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 생애 전반에 걸친, 초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애드테크는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디지털 고객분석과 마케팅 기술이며, 마켓센싱은 소비자와 시장 트랜드를 능동적으로 분석하고 지속하는 과정이다. 이같은 시도는 금융사 처음이다.
농협금융은 최근 은행, 증권 계열사가 마이데이터 사업 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만큼, 향후 마이데이터 사업과 연계한다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고객로열티 플랫폼인 NH멤버스 데이터와도 연계해 범농협 시너지를 강화하고, 다른 금융그룹과 데이터 역량 차별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그 첫 번째로 농협금융은 이날 서울 중구 본사에서 농협금융 디지털 빅데이터 플랫폼 컨설팅 착수 보고회를 진행했다. 컨설팅 결과는 올해 12월께 나올 전망이다.
이상래 농협금융 디지털금융 부문장은 "농협은 시장에서 알려진 것 이상으로 활용 가능한 데이터가 무궁무진하다"며 "이를 체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그룹 관점의 통합 플랫폼을 차질 없이 추진한다면, 데이터 비즈니스 전반에서 농협금융이 선도 금융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협금융은 금융회사 디지털 전환(DT)의 가장 중요한 열쇠는 플랫폼(App) 경쟁력 강화와 상품·서비스 혁신을 통한 고객경험 가치에 있다고 보고 관련 작업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반 은행 자산관리서비스 ‘금융생활피크(PEEK)’, 세계 첫 행동데이터 금융상품 ‘NH가고싶은 대한민국 적금’ 등 차별된 상품·서비스를 출시했다. 하반기에는 플랫폼 사업 기반 구축 등 데이터 중심의 DT 로드맵을 고도화해 농협금융 DT를 짜임새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송두리 기자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