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계 빚, 나라 경제규모 2배 넘는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9.24 15:21

2분기 말 민간 부문 신용, 명목 GDP의 206.2%

▲자료=한국은행.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영난과 생활고를 겪고 있는 기업과 가계가 앞다퉈 돈을 빌리고 있다. 여기에 부동산과 주식 투자 자금 대출까지 겹쳐 민간의 빚이 나라경제 규모 2배를 웃돌았다.

한국은행이 24일 공개한 ‘금융안정 상황(2020년 9월)’ 보고서를 보면 지난 2분기 말 현재 가계·기업 부채인 민간 부문 신용은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06.2%로 나타났다. 1분기 말(201%)과 비교해 3개월 만에 5.2%포인트 뛴 수치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5년 후 가장 높다.

가계신용을 보면 2분기 말 가계 부채는 1637조3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5.2%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은 6.4%,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3.9% 늘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6월 이후에도 주택거래량이 늘어 주택 관련 대출과 기타대출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8월 말 기준 주택 관련 대출과 기타대출은 5월 말보다 각각 15조4000억원, 17조8000억원 급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액보다 81.2%, 93.3% 많다는 게 한은 설명이다.

이처럼 가계 빚은 빠르게 늘어나는데 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2분기 말보다 0.7% 늘어나며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166.5%로 높아졌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2년 4분기 이후 최고 기록이다.

한은은 "자영업자 매출이 줄고 고용 상황이 악화해 가계 채무 상환 능력이 저하됐을 가능성이 크지만, 원리금 상환유예 등 각종 금융지원 조치로 아직까지 신용위험이 현재화하지는 않았다"면서도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취약가구를 중심으로 가계 부채 부실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기업 신용은 2분기 말 2079조5000억원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동기의 1897조1000억원 보다 9.6% 늘었다. 2009년 3분기에 11.3%를 기록한 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며 국내외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향후 기업 신용위험이 증대될 수 있다고 한은은 우려했다.

이처럼 민간 대출은 급증했으나 은행의 자산 건전성은 아직 양호한 수준이라고 한은은 평가했다. 일반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6월 말 말 현재 0.71%로 지난해 같은 시점의 0.91%보다 오히려 떨어졌다.

다만 총자산순이익률(ROA)은 작년 상반기 0.65%(연율)에서 올해 상반기 0.49%로 0.16%포인트 하락하며 은행 수익성은 나빠졌다. 한은은 "코로나19 대출 관련 대손충당금과 예대 금리차 축소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