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은희 단감건축사사무소 대표
![]() |
‘내로남불’이라는 말이 있다.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뜻으로 남이 하면 비난하고 자신이 하면 합리화하는 행태를 말하는데, 국내 중소형 건축시장의 현실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말이라 생각된다. 그 이유를 지금부터 공유하려고 한다.
먼저 필자는 중소형 건축시장의 갑을 관계에 대해 말하고 싶다. 갑은 건축주, 을은 건축 설계자나 시공사다. 건축 시 갑과 을은 존재하고, 갑은 전문가로부터 공간을 제공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서로 합의하에 계약을 체결하고도 많은 갑들은 ‘계약하기 전에는 갑이지만, 계약하고 나면 을이 된다’고 하소연 한다.그러나 갑은 계약 전에도 갑이고 계약 후에도 갑이다. 을이라 말할 수 있는 대부분의 건축 전문가들은 그렇게 일을 한다. 하지만 중소형 건축시장에서 통용되는 잘못된 정보로 결국 서로를 믿지 못하는 관행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지난번 칼럼에서 기획설계와 계획설계는 서로 소통을 많이 해야 오류가 최소화된다고 지적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일부 건축주들은 건축의 과정에서 설계를 안일하게 서비스로 생각하는 분들의 의외로 많다. 그 와중에 너무 짧은 시간 안에 설계를 마무리하려는 경우도 있는데, 그러다 보면 좋은 설계안이 나올 수가 없게 된다.
중소형 건축계의 여서 사례를 보면 건축주는 피해자, 시공사는 가해자로 포장되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건축주가 피해를 입는 상황이 있지만, 필자는 중소형 건축업계의 종사자로서 가끔은 안타깝고 속상할 때가 있다. 건축주의 판단 착오나 무지로 시간적 경제적 피해를 보는 건축 전문가들도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시공사들의 잘못도 고스란히 건축 설계자에게 가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각자 입장에서 보면 서로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일반적으로 건축주는 피해자로 둔갑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면 위에서 말한 문제들의 원인은 무엇일까? 바로 소통의 부재 혹은 부족이라 말하고 싶다. 그래서 최근 몇 년간 건축주, 시공자, 설계자 각자의 입장을 대변해 주고 관계를 맺어주는 건축 플랫폼 업체들이 많이 생겼다. 실력 대비 영업이 부족한 건축사와 시공사가 이들을 활용하면 아무래도 사업의 질이 나아질 수 있고, 건축 시장을 잘 모르는 건축주들에게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업체를 검증해 줌으로써, 도움을 주기도 한다. 건축주와 전문가 상호 간에 좋은 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정보의 홍수 시대지만, 당장 내 집 짓기를 시작하면 무엇부터 해야 하는지 막막한 것이 사실이다. 중소형 건축에서 믿을만한 건축가나 시공사를 선택하는 과정은 쉽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
건축 플랫폼은 토지매입 단계에서부터 건설 사업 전반적인 진행과정을 함께 고민하고 전문가를 연결해 주고 법규 검토, 기획설계, 설계 진행 그리고 시공자 선택에서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마치 예전에 동네 복덕방과 같은 역할을 하나, 좀 더 사업적으로 성장한 형태의 사업모델은 분명한 듯하다. 과거에는 단순히 건축설계에서 시공까지의 범위에서 그 역할을 했다면, 현재는 중개 서비스와 금융 해결 방법까지 다양한 형태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새로운 네트워크 시장이 열리고 있다.
잘만 활용하면 건축주 입장에서는 막막함이 덜고, 신뢰를 갖고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설계자나 시공사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또 건축 설계자와 시공사의 입장에서는 이른 바 ‘진상을 부리는’ 일부 악덕 건축주를 피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건축 플랫폼이 제대로 한다면, 결과적으로 건축주와 건축 전문가 모두 질적인 성장 측면에서 서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단, 건축 플랫폼 업체의 역량에 대한 검증 시스템에 대해서는 좀 더 고민을 해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이 시스템을 악용해서 자신들의 사리사욕만 채우는 플랫폼 회사도 있기 때문이다. 예비 건축주들은 이들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잘 알고 활용해야, 새로운 내로남불의 피해를 당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