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칼럼] 고민 남은 BMW '부활' 시동 걸어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1.11 10:45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그 동안 잠잠했던 BMW 차량 화재가 최근 몇 건 다시 발생했다. 물론 연간 차량 화재가 5000여건, 매일 13건 정도가 발생하니 어떤 브랜드가 화재가 많이 발생한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 그러나 지난 2년간 BMW 차량 화재가 자주 발생했고 차량 화재는 공포의 대상이었던 만큼 다른 차량 화재보다 더 높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가장 큰 고민은 현재 진행된 리콜 방법이 그 동안 문제가 되었던 EGR 모듈의 냉각기능을 강화한 장치로 교체하고 불꽃이 와 닿은 흡기매니폴드의 가연성 재질 부분을 불연성으로 바꾸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궁금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토교통부 민관조사단 발표에서도 설사 리콜을 해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화재원인이 재등장해 문제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있었다. 필자는 국토교통부 발표 이전부터 정부의 자문이나 발표 등을 통해 BMW 연구소의 엔진설계 부분부터 잘못됐다고 피력했다. 엔진과 더불어 연동돼 동작되는 EGR모듈과의 냉각 기능 등의 설계가 잘못돼 리콜을 할 수 있는 방법이나 기술적 적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우선 EGR의 냉각기능을 회복시키고 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가장 좋고 용이하다. EGR로 유입되는 뜨거운 배출가스를 줄이면 당연히 온도가 덜 상승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미세먼지의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이 급증하여 초기에 신고했던 질소산화물 등 배출기준을 어기면서 대기환경보전법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당연히 차량 운행이 정지되는 만큼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이 소프트웨어 문제는 2년 전 BMW 차량 화재 발생 시 본사에서조차 소프트웨어는 손을 대지 않았다고 극구 부인하고 있다. 결국 하드웨어인 방법만 남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리콜을 통하여 제대로 되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BMW 차량의 화재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동시에 이미 발생한 리콜 차량의 화재가 전혀 EGR 리콜과는 관계가 없다는 것을 국토교통부가 객관적으로 밝혀야 한다. 또 한동안 BMW 차량에 간헐적으로 통상적인 화재는 발생하겠으나 일상적인 경우와 달리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면 고민은 역시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아쉬운 부분은 최근 BMW 차량에 화재가 여러 건 발생하면서 지난 1년 여 기간을 압수수색과 조사 등을 진행하던 경찰이 화재가 발생하면서 기다렸다는 듯이 기소 발표를 한 점이다. 이미 발표를 해도 충분한 기간이 지났건만 관심이 증폭되자 BMW 8명의 임원진에 대한 기소를 결정한 부분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 너무 이슈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가 걱정된다고 할 수 있다.

BMW 그룹 코리아는 수입사이긴 하지만 국내 기업이라 할 정도로 20여 년간 크나큰 역할을 했다. 작지 않은 고용 창출과 더불어 다양한 자동차 산업과 문화에 큰 공적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현대차 그룹 등 국내 제작사에도 큰 스트레스를 줄 정도로 소비자 문화에 앞장서 왔고 특히 독일 본사에서도 벤치마킹할 정도로 좋은 사례가 즐비했다고 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순위에 둘 정도로 드라이빙센터와 연구개발센터는 물론이고 물류센터 등 굴지의 시설과 인프라를 국내에 조성했다.

BMW를 잘 알고 있는 필자로서는 고민도 많고 매우 아쉽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한 몸체이긴 하지만 본사 연구개발센터에 잘못 만든 차량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지사가 떠안는 모습은 더욱 안타깝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어려운 고비를 잘 극복하여 국내에서 다시 사랑받는 기업으로 BMW가 다시 부활하고 타의 모범으로 우뚝 서기를 기원한다. 충분히 그럴 역량을 가진 기업이기 때문이다.







에너지경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