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카오, 비대면 헬스케어 서비스 “내가 최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4.23 18:00

롯데헬스케어 ‘캐즐’, 체중관리·뇌건강 순차 확대
카카오헬스케어, 아워홈과 맞춤형 영양관리 제휴
설립 3년차 동갑 ‘그룹 총력전’…수익 창출은 과제

롯데헬스케어

▲이훈기 롯데헬스케어 대표가 지난해 9월 14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캐즐 그랜드 오픈 미디어 데이' 행사에서 발표하는 모습. 사진=롯데헬스케어

롯데그룹의 헬스케어 계열사 롯데헬스케어가 맞춤형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확대에 나선다.




앞서 카카오그룹의 카카오헬스케어가 맞춤형 모바일 건강관리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롯데헬스케어도 속도를 내면서 두 그룹간 헬스케어 사업 주도권 싸움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헬스케어는 지난해 9월 출시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 '캐즐' 서비스에 올해 상반기 중 체중관리 프로그램과 두피·피부관리 서비스를 추가하고, 하반기에는 뇌건강 관리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추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롯데헬스케어는 국내 바이오기업 '테라젠바이오'를 비롯해 수면 솔루션 기업 '에스옴니', 디지털 멘탈케어 기업 '아이메디신', 스마트팜 기업 '팜에이트', 탈모·두피케어 기업 '비컨' 등과 잇따라 파트너십을 맺어 왔다.


캐즐은 인공지능(AI)를 활용해 개인동의 하에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소비자 직접시행(DTC) 유전자 검사, 심리 상담, 건강식단 조언, 영양제·운동용품 쇼핑 등을 종합 제공하는 서비스로, 올해 말까지 가입자 100만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롯데헬스케어는 식품·유통·레저 등 롯데그룹 강점을 활용, 그룹 계열사 및 파트너사와 서비스를 연계해 다른 건강관리 플랫폼과 차별화한다는 복안이다. 지난 20~21일에는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그룹 대표행사인 수직 마라톤 대회 '2024 스카이런'에 처음 공식 후원사로 참여하기도 했다.


지난해 영양제 디스펜서 관련 국내 스타트업 아이디어 도용 의혹으로 홍역을 치르기도 했지만 신속한 관련사업 철수 결정과 이에 따른 피해 스타트업의 신고 취하 등 이미지 회복에도 공들이고 있다.




카카오헬스 황희 대표(오른쪽 두번째)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오른쪽 두 번째)가 지난 9~11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4'에서 롭 버드송 구글 부사장(왼쪽 2번째) 등 구글 경영진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카카오헬스

카카오그룹의 헬스케어 계열사 카카오헬스케어는 지난 2월 모바일 당뇨관리 서비스 '파스타'를 국내에 출시한데 이어 내년 일본에 진출해 점차 해외로 확대할 계획이다.


파스타는 웨어러블 연속혈당측정기(CGM)와 연동해 실시간 혈당체크 및 식습관·운동습관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해 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카카오헬스케어는 국내 '아이센스'와 미국 '덱스콤' 등 국내외 CGM 기기업체와의 협업은 물론 최근에는 푸드케이터링 기업 아워홈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개인 맞춤형 영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는 등 서비스 확대에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향후 미국 진출을 위해 삼성전자에서 헬스케어 부문을 담당하던 양태종 전 삼성전자 부사장을 영입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빅데이터, 모바일 기술 등 모그룹의 강점을 활용해 혈당, 혈압 등 만성질환과 식사, 수면 등 실생활간의 상관관계를 정교하게 분석한 초개인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다.


롯데헬스케어와 카카오헬스케어 모두 각각 모그룹이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기업인 동시에 모그룹의 강점을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


두 회사는 2022년 설립된 동갑내기로 아직 수익창출까지 갈길이 멀다는 공통점도 가진다. 롯데헬스케어는 지난해 매출 8억원, 영업손실 229억원을 기록했고, 카카오헬스케어는 지난해 매출 45억원, 영업손실 220억원을 기록했다.


업계는 아직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초기 형성단계이고 규모도 작지만 최근 의료파업 장기화 등 비대면 진료·건강관리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수익창출 방안 모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나아가 모그룹의 지원을 등에 업은 대기업 헬스케어 계열사들이 비대면 건강관리 플랫폼 '어떠케어'를 운영하는 GC녹십자그룹 등 전통 제약사의 건강관리 서비스와 차별화 경쟁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