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사태 "국내 영향 제한적" … 정부 "구체적 대응계획 내놓을 단계 아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5.07.01 09:21

▲그리스 디폴트의 절대 고비인 6월30일(현지시간) 오후 의회 건물 앞 신타그마(헌법광장)에 모인 채권단의 그리스 개혁 방안에 반대하는 그리스 국민들이 모였다. 다가오는 일요일 투표는 그리스 및 유로존의 향방을 가늠하는 의미 있는 국민투표가 될 전망이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에너지경제 온라인뉴스팀] 1일 오전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 회의를 열어 그리스 사태와 관련된 금융시장 상황과 대응책을 점검했다.

정부는 예측된 상황인데다 국내 영향이 제한적이므로 아직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내놓을 정도로 상황이 나쁘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한국과 그리스와의 교역 규모가 미미하고 한국의 대외 건전성이 탄탄해 그리스 사태에 따른 여파로 급격한 자본이탈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2014년 기준으로 그리스가 국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2%, 금융기관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0.8% 수준이다.

또한 IMF에 대한 채무 불이행 자체가 공식적 디폴트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실재로 IMF는 디폴트가 아니라 ‘체납(arrear)’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민간 채권자들을 상대로 빚을 갚지 못하는 단계로 가야 디폴트라는 것이다.

그러나 체납과 디폴트의 구분은 용어의 차이일 뿐 시장에서는 체납을 사실상의 디폴트로 받아들이는 모습이다.

정부는 5월 29일부터 기재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이 참여하는 점검반 회의를 매일 열어 금융시장 상황을 살피고 있다. 당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정부는 그리스 사태가 악화돼 주변 국가로 불똥이 튀고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로 이어지는 등 최악의 경우를 가정한 비상계획을 논의했다. 대응 단계도 모니터링 수준에서 한 단계 올렸다.
온라인뉴스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