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 소통 일본 몫"…외교부, 대화 의지 재차 강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1.03.02 22:16
3ㆍ1절 기념사 하는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가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도 대화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정례브리핑에서 "(과거사 문제) 해결책 논의를 위해서는 대화를 해야 한다"며 "앞으로 한일 간의 정상적인 외교적 소통은 이제 일본의 몫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다른 외교부 당국자도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 대해 "일본 내 분위기상 당장 호응을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어려운 과거사 현안과 관련해 역지사지 정신으로 대화 의지를 밝힌 부분도 주목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전날 3·1절 기념사에서 "우리 정부는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면서 과거사 문제와 미래지향적 협력을 분리하는 투트랙 기조를 유지하며 한일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경제 사안인 수출규제로 보복에 나서고 있다.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도 현금화 우려를 이유로 협조하지 않는 등 과거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다른 분야 협력도 쉽지 않다는 기조를 보이고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9일 취임했지만 아직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통화가 이뤄지지 않는 점을 보면 고위급 소통도 원활하지 않은 분위기다.

정부는 가능한 이른 시일에 통화를 하려는 입장이지만 일본은 현재 한국과 과거사 문제를 두고 각을 세우는 상황에서 바로 응하지 않으려는 모습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두 외교 정상의 통화 시점에 대해 "예단하기 어렵고 여러 가지 요소들이 양쪽에 다 있기 때문에 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는 가급적 조속히 통화할 의사가 분명히 있는 것이고 일본도 그것을 인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대화 의지를 재차 강조하는 것에 대해 한일관계 개선이 일차적 목표로 보이면서 미국을 의식한 행보라는 해석도 내놓는다.

조 바이든 새 행정부가 한미일 삼각 공조를 거듭 강조하는 상황에서 한국도 이미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일본에 공을 넘겼다고도 볼 수 있다.

외교 당국은 현재 일본 내에서 강제징용보다 지난 1월 판결로 불거진 위안부 문제에 대해 더 신경 쓰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당면한 위안부 판결 문제와 관련해 어느 정도 돌파구가 마련돼야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논의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오는 3일 오후 외교부에서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를 만날 계획이다.

이 할머니는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을 규명하기 위해 일본을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신중히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claudia@ekn.kr

오세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