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손희연 기자] 사업비 4조3000억원 규모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노선 건설사업을 두고 대형 건설사들의 수주전이 예고돼 눈길을 끈다. 업계에선 이번 수주전이 과거 GTX-A노선 사업과 같이 건설사가 주축이 되는 건설투자자와 금융기관이 중심인 재무적투자자의 대결 구도로 흘러갈 것으로 보고 있다.
31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GTX-C노선 민간투자대상사업 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RFP·Request For Proposal)’을 고시했다.
GTX-C노선은 경기도 양주시 덕정역에서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까지 74.8km 구간을 연결한다. 정차역은 △양주 덕정역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삼성역 △양재역 △과천역 △금정역 △수원역 등 총 10개다. 국토부는 여기에 최대 3개의 정차역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뒀다.
총 추정 사업비는 4조3857억원이다. 공사기간은 착공일로부터 60개월이고 사업방식은 민간투자법에 따른 BTO(Build Transfer Operate·수익형 민간투자) 방식이 채택됐다. 운영기간은 40년으로 GTX-A 노선보다 10년 더 길다. 정부는 오는 4월 21일까지 민간사업자 공모를 진행한 뒤 평가를 거쳐 5월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현재 GTX-C노선 수주전에는 △현대건설·KB국민은행 △GS건설·KDB산업은행 △신한은행·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이 참여하는 것으로 거론된다. 현대건설, GS건설, 신한은행이 각각 컨소시엄의 주관사를 맡았다. 삼성물산·NH농협생명 컨소시엄도 입찰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끌었지만, 삼성물산은 내부 투자심의를 거쳐 GTX-C노선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국내 건설사와 금융사들이 GTX-C 철도사업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부대 및 부속사업 설계다. BTO방식으로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BTO 방식은 민간이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해 정부 또는 지자체에 소유권을 넘겨주고 사업시행자로서 운영권을 얻어 이용료로 수익을 내는 민간투자방식이다. 정부가 당초 목표했던 BTO-rs(BTO-risk sharing·위험분담형 민간투자)의 경우 정부가 시설투자비와 운영비용을 어느 정도 부담하지만 BTO는 모든 비용을 민간이 책임진다.
이번 수주전의 관전 포인트는 건설사가 주축이 되는 건설투자자(CI·Construction Investor)와 재무적투자자(FI·Financial Investor)의 대결이다. 지난 2018년 GTX-C사업과 똑같이 BTO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됐던 GTX-A 노선의 경우 사업자 선정 당시엔 신한은행 컨소시엄(FI)과 현대건설 컨소시엄(CI)의 2파전이 펼쳐졌다.
당시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승기를 잡았다. 현대건설컨소시엄은 기존 노선에서 시청역을 추가로 하겠다는 계획을 사업신청서에 넣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정부는 추가적인 건설비용, 추가역 설치로 인한 표정속도 감소 등을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신한은행컨소시엄은 공사비 원가증액요인 없이 금융기법을 활용해 4000억원 정도의 정부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사업비 조달과 비용관리 능력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얻어냈다.
대형건설사 한 관계자는 "그동안 대규모 철도사업에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해 온 건설(CI)과 풍부한 자금력이 확보되는 금융(FI)과의 수주전이 치열했다"며 "GTX-C노선 사업이 규모가 큰 만큼 CI와 FI가 각자의 강점을 내세운 사업신청서가 입찰 여부의 포인트가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son90@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