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포크로 갈린 이더리움·이더리움 클래식, 상승률도 나뉘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1.05.04 07:52
cryptocurrency-3409641_1920 (2)

▲암호화폐 모형들 가운데 이더리움 모형(사진=픽사베이.)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암호화폐 이더리움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는 가운데 이더리움에서 파생된 이더리움 클래식은 올해 들어 2배가량 더 가파르게 상승세를 타고 있다.

4일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에 따르면 3일 오후 6시 현재 업비트에서 이더리움 클래식은 개당 6만 1370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말 종가(6285원)와 비교하면 876.5% 급등한 가격이다.

업비트에서 이더리움 클래식은 2018년 1월 14일 역대 최고가(7만 1000원)를 기록한 뒤 그해 11월 중순부터 작년 1월을 제외하고는 줄곧 1만원을 밑돌았다.

그러다 올해 2월부터는 1만원대를 회복한 뒤 본격적으로 상승해 4월 17일 한때 6만원을 넘어섰다.

최근 한 달로 범위를 좁혀 보면 이더리움 클래식은 3일 오후 6시 현재 252.5% 올랐다.

도지코인(+ 562.9%)에 이어 이 기간 업비트 원화 시장 내 상승률 2위다.

이더리움도 최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그러나 이더리움 클래식에 견주면 상승세가 완만하다.

업비트에서 이더리움은 지난해 말 81만 5100원(종가) 대비 3일 오후 6시 현재 370.6% 상승해 처음으로 380만원대를 넘어섰다.

이더리움은 유럽투자은행(EIU)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1억 유로(약 1343억원) 상당 디지털 채권을 발행한다는 소식이 나온 뒤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해 NFT(Non-Fungible Token·대체불가토큰) 시장을 운영하기로 했다.

빗썸에서도 올해 들어 이더리움 클래식은 860.3%(지난해 말 종가 6300원 → 3일 오후 6시 6만 500원) 폭등해 이더리움(370.3%) 상승률을 한참 앞질렀다.

둘 간 상승률 차이는 특히 지난달 중순부터 크게 벌어졌다.

업비트에서 지난해 말 대비 4월 14일 이더리움 상승률은 281.8%로, 같은 기간 이더리움 클래식(346.1%)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 초기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2016년 7월 20일에 진행된 이더리움 하드 포크(Hard Fork)로 새로운 블록체인이 생기면서 탄생했다.

하드 포크란 기존 블록체인과 완전히 갈려서 호환되지 않는 새로운 블록체인이 형성되는 것을 뜻한다.

하드 포크가 일어나면 새 블록체인으로 업그레이드하길 거부하고 기존 블록체인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블록체인이 2개 이상으로 나뉘어 각각 존재하게 된다.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시 간 관계다.

다만 두 암호자산 간에 이렇게 크게 상승률이 벌어지는 이유나 배경은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상승세를 타는 투자에 더욱 주의가 필요할 전망이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