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급등에 중도금 무이자 혜택 제공
계약금 정액제 등 파격적인 혜택으로 마케팅
건설사, 주택 가격 하락 전망속 물량 털어내기
▲최근 분양시장에 중도금 무이자·계약금 정액제라는 파격 혜택을 내건 단지들이 늘어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장원석 기자] 전반적인 부동산시장 침체가 우려되고 한국은행이 물가를 잡기 위해 계속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가운데 최근 분양시장에서 수요자들의 이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중도금 무이자, 계약금 정액제라는 파격 혜택을 건 단지가 늘고 있다.
이들 아파트들은 중도금 대출에서 발생되는 이자를 건설사나 시행사가 대신 부담해 수요자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 계약금을 정해진 금액만 먼저 납부토록 하는 계약금 정액제도를 시행해 수요자들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이런 파격 혜택에 대해 전문가들은 건설사들이 향후 집값이 하락 추세에 이르러 수요자들의 관심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분양 물량을 빨리 털어내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8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최근 기준 금리가 급등하면서 분양시장에서는 중도금 무이자라는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단지가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 GS건설이 서울 은평구 신사동에 분양하는 ‘은평자이 더 스타’가 있다. 이 오피스텔은 서울시 은평구 신사동 일원에 지하 4층~지상 25층, 2개 동으로 준공되며 총 312세대 중 소형주택이 262가구, 오피스텔이 50가구이다. 서울 내에서 보기 드문 중도금 전액 무이자까지 적용해 이목을 끌고 있다.
또 KCC건설은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일대에 들어서는 주거형 오피스텔 ‘미사 아넬로 스위첸’을 분양하면서 계약금 1000만원 정액제와 중도금 50% 무이자 혜택을 내걸었다.
현대건설도 대구 남구 ‘힐스테이트 대명 센트럴 2차’에 1차 계약금 1000만원, 4~6회차 중도금 무이자 혜택(일부 가구) 등의 금융혜택을 내걸었다.
건설사들이 이렇게 중도금 무이자 혜택을 주는 이유는 최근 기준금리가 급등하면서 대출 이자가 크게 늘어 주택경기가 크게 침체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가 덩달아 높아져 수요자들이 대출을 받는데 부담을 느끼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한은이 빅스텝(기준금리 0.50% 인상)을 단행하면서 시중금리가 급등하는 추세에 이르자 재빨리 분양 물량을 털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실제로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이 금리 변동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상환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전용면적 84㎡타입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 13억1000만원을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한선까지 적용해 대출을 받게 됐을 때 금리를 3.9%로 가정하면 대출금은 4억3716만원 그리고 이자는 월 209만원을 납부해야 한다.
그런데 시장에서 예상하는 수준인 올해 연말 주담대 금리 7%를 적용하게 되면, 월 대출 상환금액이 291만원으로 크게 늘어난다. 기존 209만원 대비 82만원을 추가 이자비용으로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가처분소득인 418만9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해보면, 월 주택담보대출 상환액이 69%에 달해 부담이 상당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중도금 무이자는 이자 부담을 덜어져 매혹적인 상품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 건설사들은 또, 중도금 무이자 혜택 외에도 계약금 정액제 혜택도 내걸고 있다. 계약금 정액제는 통상 분양가의 10~20%로 책정되는 계약금 중에서 1000만~2000만원 등 정해진 일정 금액만 먼저 납부하는 방식이다. 이 역시 수요자들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마케팅 기법이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중도금 무이자, 계약금 정액제 등 파격적인 혜택을 내 거는 이유는 마케팅 비용을 다소 지출하더라도 아예 미분양으로 인해 손실을 보는 것 보다는 이득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중도금 무이자, 계약금 정액제 등은 건설사들의 마케팅 방법중에 하나인데 최근 분양이 어려워지면서 건설사들이 물량을 빨리 털어내려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미분양으로 남는 것 보다 이러한 마케팅으로 물량을 빨리 털어내는 편이 낫겠다 생각한 것 같다"면서 "그러나 근본적으로 분양가가 낮아지지 않는다면 이러한 유인책도 한계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jw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