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물검출과 후살균 공정에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 |
▲KGC인삼공사 원주공장 전경. 사진=KGC인삼공사 |
스마트해썹은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IT기술을 활용해 식품안전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중요관리지점 모니터링을 자동화한 시스템이다.
KGC인삼공사는 이달 KGC인삼공사 원주공장이 엑스레이(X-ray) 이물검출과 후살균 공정 등에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면서 스마트해썹 인증을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지난 2015년 원주공장은 의약품 제조시설에 버금가는 설비로 해썹 인증을 마친 바 있다.
스마트해썹은 각종 문서를 디지털화해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 측은 소개했다. 기존 해썹은 수기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록·관리하는 데 그쳤다. 아울러 위해요소 발견 시 관리자에게 바로 알림이 가서 즉각적인 개선 조치가 가능한 점도 장점이다.
향후 KGC인삼공사는 자체 생산관리시스템을 활용한 공정분석·실시간 모니터링을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한층 강화된 품질관리능력을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심용완 KGC인삼공사 제조기획실장은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정관장 제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품질관리에 더욱 힘쓰겠다"고 전했다.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