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야당은 아베 장례식도 안 가는데...옛 英식민지 인도는 대통령 영국행 논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15 14:49
INDIA-ELECTION/PRESIDENT

▲드라우파디 무르무 인도 대통령.로이터/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아베 신조 일본 전 총리와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등 국가 원수급 인사들이 잇따라 생을 달리한 가운데 장례식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옛 영국 식민지였던 인도에서는 드라우파디 무르무 대통령이 엘리자베스 여왕 장례식 참석키로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인도 외교부는 14일(현지시간) "무르무 대통령이 오는 17∼19일 영국을 방문,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국장에 참석하고 인도 정부를 대표해 조의를 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왕 장례식은 오는 19일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엄수된다. 각국 정상과 고위 인사 5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의원내각제 체제인 인도에서 대통령은 헌법상 국가 원수지만 실제로는 의전 등을 주로 수행한다. 실권은 총리가 갖는 형식이다.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영국 방문에 비판적인 목소리가 쏟아졌다.

특히 일부는 무르무 대통령이 이번 방문에서 영국 왕실 소유 다이아몬드 코이누르를 돌려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05.6 캐럿 코이누르는 영국 여왕 왕관에 박힌 다이아몬드다. 이는 13세기 초 인도 남부에서 채굴된 것으로 알려졌다. 무굴제국 등 여러 인도 왕가 소유로 내려오다 1849년 시크 왕국이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동인도회사를 통해 영국 왕실로 넘어갔다.

죠티 아트왈 인도 자와할랄 네루대 역사학과 교수는 영국 일간 가디언에 "인도의 많은 이들은 여전히 여왕으로부터 (식민 지배 관련) 사과를 원했다"며 "그들은 영국의 인도 통치 관련 탄압이 아직도 마무리되지 않았다고 여긴다"고 말했다.

아트왈 교수는 "이제 인도인들은 찰스왕에게 사과를 기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 정부도 영국 식민지 지배 흔적을 지우는 데 열심이다.

최근에는 인도 관공서가 밀집된 수도 뉴델리 중심 거리 이름을 ‘라지파트’(왕의 길)에서 ‘카르타비아파트’(의무의 길)로 바꿨다.

라지파트 인근 영국 국왕 조지 5세(1865∼1936) 조각상이 있던 자리에는 최근 수바스 찬드라 보스(1897∼1945) 조각상이 들어섰다.

조지 5세 조각상은 인도가 194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에도 같은 자리를 지키다가 1968년 뉴델리의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보스는 영국 식민지 치하에서 비폭력주의를 주장한 마하트마 간디 등과 달리 무력 투쟁을 통한 독립을 추진한 인물이다.

다만 과거 인디라 간디 인도 전 총리 장례식에 영국 총리와 왕실 관계자가 참석한 점을 예로 들며 이번 결정을 환영한 이들도 있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아베 전 총리 장례식에 자국 내 야당들조차 참석하지 않는다고 밝혀 논란이다. 아베 전 총리 장례식이 예산을 들인 국장으로 치뤄진다는 점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일본 교도통신과 NHK는 일본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이 오는 27일 열리는 아베 전 총리 국장(國葬)에 불참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즈미 겐타 입헌민주당 대표는 이날 임시 간부회의 뒤 "(아베 전 총리 국장은) 사전에 국회에 설명하지 않았다. 국민에 대한 성실성이 결여된 판단이었다"며 "내각 독단으로 강행되고 있다. 많은 국민이 위화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앞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지난 8일 중의원(하원)에 출석해 아베 전 총리 장례식을 국장으로 치루는 의미를 강조한 바 있다.

후미오 총리는 아베 전 총리 재임 기간이 역대 총리 중 가장 길고 큰 업적을 남겼다고 평가하면서 국장을 계기로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 정상과 회담을 열어 그가 남긴 외교적 유산을 계승, 발전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베 전 총리 국장은 총 16억 6000만엔(약 162억원)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내에선 이에 대한 반대 기류도 강하다.

공영방송 NHK가 이달 9∼11일 유권자를 상대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기시다 총리가 주도한 국장 결정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57%)는 반응이 긍정적 평가(32%) 두 배에 육박했다.

야권 내에선 국장 참석에 대한 대응이 엇갈리고 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입헌민주당과 공산당, 레이와신센구미, 사민당은 참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우익 성향의 제3당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은 참석할 방침이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