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주 산업부 기자
![]() |
여기에 내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EEXI/CII)는 해운업계를 더욱 옥죄고 있다. 해당 규제로 바다 위를 항해하는 선박들은 2008년 대비 2030년까지 40%, 2050년까지 50%까지 탄소배출량을 감축해야 한다. 미래의 바다 위에서는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만 운항이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현재 해운과 조선 업계는 ‘친환경 선박’ 개발을 향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어떤 ‘친환경 연료’를 사용해야 할지 아직 모르겠다는 반응이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외항 해운업계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여러 항을 거치며 운항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연료 공급 인프라가 깔려 있어야 된다"라며 "어떤 연료를 동력으로 하는 선박에 투자 해야하는건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국내 해운업계가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등 차세대 친환경 연료를 찾기 위해 갈팡질팡 하는 사이 덴마크의 글로벌 해운사 머스크(MAERSK)는 이미 행동에 나섰다. 차세대 친환경 연료를 메탄올로 낙점하고 메탄올 공장까지 자회사로 편입하며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다.
머스크가 이를 자신의 힘 만으로 해낸건 아니다. 덴마크를 포함한 해운강국들은 정부 차원에서 국가 기간 산업인 해운업을 적극 보호하고 있다. 국가 안보와 전략 차원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는 해운 시장이 급변하고 있는 현 시점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때라고 입을 모은다. 현재 정부의 지원책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노후선 폐선 보조금 등 정부의 지원이 있지만 금융 상품 제공은 물론 공공부문 투자 확대로 국적 선대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한국은 세계 9위 무역 대국이다.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라는 것이다. 정부가 모든 산업의 ‘다리’ 역할을 하는 해운산업을 지켜줘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