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수급안정 위해 비축배추 3천톤 공급 발표
"가격안정 일시적…출하 5만톤 김장수요 감당 의문"
양질배추 확보, 포장김치업체 비용증가 지원 필요
![]() |
▲19일 서울 시내 한 식당에서 시민들이 김치를 식판에 담고 있다.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동절기 김장철을 앞두고 정부가 최근 가격 상승세를 보이는 배추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3000톤 긴급방출 등 안정대책을 내놓았지만, 김치업계는 ‘미흡한 임시방편책’이라며 평가절하하는 분위기다.
21일 김치업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날인 20일 ‘농축산물 수급 전망과 향후 대책’을 발표하고 대대적인 배추 공급과 함께 추후 산지 생산량 확보로 수급 안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는 정부·민간에서 출하하는 공급량이 한정된 데다 기상 악화에 따른 품질 저하 등을 이유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한, 날로 수요가 늘어나는 있는 포장김치 제조사들도 원자재 비용 상승뿐 아니라, 인건비·물류비 등 각종 제조설비 비용도 증가하고 있어 정부의 안정대책이 제한적 성격을 띠고 있는 비판도 나온다.
농식품부는 오는 10월 초까지 배추 3000톤(정부 비축 1000톤, 농협 2000톤)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달 상순 수입하기로 한 수출 김치용 중국산 배추 600톤을 김치업체에 조기 공급하기로 했다. 이는 추석 전후로 각각 배추 1만톤, 1만300톤을 시장에 풀었지만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은 데 따른 조치다.
그러나 김치업계는 정부 안정책이 한시적 조치라며 다소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수급 불안정에 대한 임시방편으로 가격인상 억제는 가능하지만, 올 김장철 수요를 대비하기엔 역부족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김치업계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일시적인 물량 공급보다 가격 안정화가 우선돼야 한다"며 "산지 수확량도 정해져 있는데다 정부든 민간 주도든 총 출하 예상 물량은 5만톤 수준으로 김장철 시장 수요를 맞출 수 있을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10월 초부터 배추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 것이란 정부의 낙관적 평가에 업계는 ‘의아하다’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가 9월 하순부터 출하하는 ‘준고랭지 2기작 배추’의 재배면적 증가로 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을 피력했지만, 가을철 병충해 피해에 따른 배추 생산량 감소도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또한, 10월 중순부터 출하 예정인 가을배추도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최근 태풍 힌남노 여파로 남해 지역 배추밭 피해가 극심해 배추 수급이 순조롭지 못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김치업체 한 관계자는 "가격 안정화를 위해선 충분한 원물 조달과 함께 양질의 원료라는 조건이 선행돼야 한다"며 "물량 공급이 이뤄져도 배추 속이 무르는 등 재료 상태가 나쁘다면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김치업계의 회의적 입장에 정부는 향후 산지에서 출하하는 배추 작황이 평년보다 좋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김치 제조에 문제가 있을 정도는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통상 도매시장에 공급하는 배추 상품은 ‘특·상·중·하품’으로 나뉘며, 김치업체에 공급하는 상품은 ‘중·하품’으로 시중의 배추보다 품질이 낫다"며 "가을로 접어들며 기상상황도 개선됐고, 상품도 산지 밭에서 직접 재배, 수확해 공급하는 것으로 품질 걱정은 없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배추 등 원부자재 값뿐 아니라 인건비·물류비, 공장 등 유틸리티(시설) 운영비용 등 각종 경영비용이 크게 오르면서 포장김치업계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점을 정부가 간과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로 원가 부담이 높아지면서 지난 15일 CJ제일제당은 포장김치 19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11% 인상했고, ㈜대상도 10월부터 김치상품 가격을 10% 올릴 예정이다.
포장김치업계 관계자는 "김치 생산량이 종전 대비 40% 감소한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배추 공급량을 늘려 수요를 맞추려는 노력은 환영할만 한 일"이라면서도 "포장김치는 서민음식이란 이미지가 강해 원가 인상분만큼 소비자가에 전가할 수 없어 업체가 감내하는 부분이 크다. 배추 공급 외에도 추가적인 지원책을 필요하다"고 말했다.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