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9월 호주 캥거루아일랜드에서 일어난 산불로 인해 부상을 입은 코알라. (사진=로이터/연합) |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타냐 플리버섹 호주 환경부 장관은 호주의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국토 최소 30%를 할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플리버섹 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우리의 식물, 동물, 생태계를 멸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라며 "110개 종과 20개의 장소에 우선순위를 지정함으로써 보전을 위해 관리되는 면적이 5000만ha(약 50만㎢)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에서 육지 면적이 6번째로 큰 호주는 코알라와 오리너구리 같은 독특한 동물들의 서식지이다. 하지만 최근 극단적인 기상 현상과 인간들의 서식지 침입으로 인해 호주 동식물들의 개체수는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호주를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인 코알라는 지난 4년 동안 개체수의 30%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지난 2월 멸종위기 동물로 등록됐다.
호주의 동식물들은 2019년과 2020년 수십억마리의 목숨을 앗아간 대형 산불을 비롯해 빈번하게 일어나는 자연재해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아왔다.
호주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5개년 환경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에서는 다른 어떤 대륙보다 더 많은 포유류 종들이 멸종됐으며 세계 선진국들 중 가장 큰 종의 감소율이 기록되고 있다.
해당 보고서에서 멸종위기 목록에 추가되거나 더 높은 위험 범주에 속하는 종의 수는 2016년 이전 보고서에서보다 평균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야생동물기금(WWF) 호주지부는 동식물 보존을 위한 호주 정부의 노력을 환영하면서도 당국이 더 나아가 멸종위기에 처한 모든 종에 대한 시간 제한적 회복 계획에 투자할 것을 촉구했다.
WWF 호주지부의 최고 보호 책임자인 레이첼 로리는 "호주에는 1900종 이상의 멸종위기종이 등록돼 있지만 이 계획은 110개의 승자만을 선정한다"면서 "이 계획이 ‘우선순위가 아닌’ 멸종위기종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지는 불분명하다"라고 꼬집었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