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LG전자가 글로벌 TV 수요 감소 등 경기 침체 여파에도 역대 최고 매출 기록을 새로 썼다.
LG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1조1714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ㄷ비 매출은 14.0%, 영업이익은 25.1%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역대 최고였던 올해 1분기 기록(20조9690억원)을 넘어섰다. 다만 영업이익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3분기(영업이익 5968억원)에는 제너럴모터스(GM) 전기차 리콜 관련 충당금 약 4800억원이 반영됐다.
이날 부문별 세부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다. 시장에서는 코로나19 특수가 사라지면서 가전과 TV 수요가 위축된 반면 전장부품(VS) 사업과 LG오브제컬렉션 등 프리미엄 제품 등이 선전하며 실적을 뒷받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장 부문은 반도체 부족 완화에 따른 완성차 생산 개선 효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9년 만에 첫 연간 흑자 달성이 기대된다.
LG전자는 올해 상반기에 이미 VS 신규 수주 8조원을 달성했다. 연말까지 총 수주잔고가 65조원을 넘을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1조1714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ㄷ비 매출은 14.0%, 영업이익은 25.1%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역대 최고였던 올해 1분기 기록(20조9690억원)을 넘어섰다. 다만 영업이익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3분기(영업이익 5968억원)에는 제너럴모터스(GM) 전기차 리콜 관련 충당금 약 4800억원이 반영됐다.
이날 부문별 세부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다. 시장에서는 코로나19 특수가 사라지면서 가전과 TV 수요가 위축된 반면 전장부품(VS) 사업과 LG오브제컬렉션 등 프리미엄 제품 등이 선전하며 실적을 뒷받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장 부문은 반도체 부족 완화에 따른 완성차 생산 개선 효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9년 만에 첫 연간 흑자 달성이 기대된다.
LG전자는 올해 상반기에 이미 VS 신규 수주 8조원을 달성했다. 연말까지 총 수주잔고가 65조원을 넘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