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도 싸늘한 이태원 참사 대응…경찰 8곳 압수수색, 용산경찰서장 대기발령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02 16:14
2022110201000121300003971

▲2일 용산구 녹사평역 인근에 마련된 이태원 핼러윈데이 압사 사고 희생자 합동 분향소 앞에 경찰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논란이 정부·여당에서 마저 비판 받는 가운데, 경찰이 관계 기관인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등 8곳에 강제수사를 시작했다.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2일 오후 2시부터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 다산콜센터, 이태원역 등에 수사 인력을 보냈다.

참사 당일 112 신고 관련 자료와 핼러윈 경비 계획 문건 등을 압수수색하기 위해서다.

중점 수사 대상은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과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 용산경찰서 정보과 등이다.

이번 참사와 관련한 경찰 강제수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참사 전 경찰에 접수된 신고에도 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질책이 쏟아지면서 강력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경찰청이 전날 공개한 참사 발생 전 11건 신고 녹취록에 따르면 경찰은 ‘압사’ 등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는 구체적인 신고에도 경비인력을 늘리는 등 적극적으로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이 신고를 받은 뒤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에 하달했는데 11건의 신고 중 현장출동은 단 4건에 그쳤다.

이에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경찰은 특별수사본부와 감찰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고 국민들께 투명하고 소상하게 설명하라"며 "정부는 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비대위 회의에서 경찰에 "응당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원내대표 역시 "(국가애도)기간이 지나면 철저한 원인 규명과 그에 상응하는 책임 추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수본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를 통해 참사 전 신고를 받은 담당 경찰관들이 직무상 책임을 다했는지, 신고 상황을 전파 받은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들 조치는 적절했는지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또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가 11건 신고를 받고도 인파 해산이나 경력 증원 등의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은 이유 등도 캐물을 예정이다.

이밖에 핼러윈을 관리할 경찰력 투입 계획 등 전반적 준비 상황을 확인해 사고 당일 용산경찰서가 취한 안전관리 조치 적절성도 살펴볼 계획이다.

용산경찰서가 핼러윈을 앞두고 기동대 경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서울경찰청이 거부했다는 의혹 역시 수사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용산구청과 관련해선 참사 사흘 전인 지난달 26일 용산구청이 경찰서와 이태원역 등과 ‘핼러윈 안전 대책 간담회’를 하고도 적절한 인원 안전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특수본은 구청장실과 안전재난과 등 관련 부서에서 자료를 확보 중이다.

용산소방서와 서울종합방재센터 서울소방재난본부, 다산콜센터는 각각 상황실을 압수수색해 참사 관련 신고 내역 등을 확보 중이다.

이밖에 경찰청은 이날 이임재 서울 용산경찰서장에도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대기발령 조치했다. 용산경찰서장 후임자는 이날 중 발령될 예정이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