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제조업 500대 기업 대상 NDC 2030 목표치 상향안 달성 가능성 조사'
탄소 감축 기술 수준 등 고려 미비, 철강·석유화학 분야 타격 우려
![]() |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
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제조업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NDC 2030 목표치 상향안 달성 가능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8.0%가 NDC 2030 실현 가능성이 낮다(매우 낮다 18.0%, 낮다 30.0%)고 답했다.
해당 목표치를 유지할 경우, 현재 대비 2030년 기업의 경쟁력은 응답자의 56.0%가 하락할 것이라고 대답했으며, 기존 수준 유지가 33.0%였다. 기존 대비 경쟁력이 상승할 것이라고 대답한 비율은 3.0%에 불과했다.
NDC 2030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탄소 감축 수치를 수립했냐는 질문에는 수립(예정)이라고 대답한 기업이 67.0%(수립 23.0%, 수립 예정 44.0%)였으며, 33.0%는 수립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기업이 생각하는 적정 감축 수준과 목표치 사이에도 괴리가 있었다. 2018년 대비 2030년까지의 탄소 감축 적정 수준을 묻는 질문에서는 ‘0~10% 수준’이 37.0%로 가장 많았으며, 10~20% 수준 감축이(24.0%), 직전 수준인 26.3% 유지가 그 뒤를 이었다(19.0%). 적정 감축 수준의 평균은 15.8%로, 2021년 10월 정부가 설정한 목표인 40% 수준보다 24.2%포인트 낮았다.
현재의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2.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기존의 시나리오를 계승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0%에 불과했다.
설정된 NDC 2030 목표치의 문제점으로는 ‘현재의 탄소 감축 기술 수준 고려 미비’가 38.0%로 가장 많았으며, 산업계 의견 수렴 부족이 29.0%, 국내 산업 구조 고려 부족이 16.0%, 생산 위축 불가피(14.0%) 등이 있었다.
또, 가장 타격을 입을 것으로 생각되는 산업 분야로는 철강 분야(38.0%)가 가장 많이 꼽혔으며 석유화학 분야가 23.0%, 에너지·발전 분야가 17.0% 등이 뒤를 이었다.
NDC 2030 목표치 관련 개선돼야 하는 것과 관련해선 ‘산업부문 배출량 감축 부담 완화’가 36.0%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원자력 발전 비중 상향 등 전원 믹스 재검토(25.0%), ’NDC 2030 목표치 하향 조정(23.0%), ‘목표 시점 조정(13.0%)’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2030 전원믹스 달성 가능성에 대한 평가에서 석탄 비중(2018년 41.9% → 2030년 21.8%)과 재생에너지 비중(2018년 6.2% → 2030년 30.2%) 달성 가능성이 모두 낮게 평가되는 만큼, 에너지 전환 과도기에 원자력 비중 향상 등을 통해 현실적인 에너지 믹스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