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노조 "권력에 의탁한 일부 인사들, 관치시도 중단하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09 10:18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지주.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모피아(재무부+마피아), 관피아(관료+마피아) 등 낙하산 인사들이 금융지주사 최고경영자(CEO)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물밑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우리금융지주 노조가 이러한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경고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우리금융노동조합 협의회는 전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는 등 국민경제 전반에 큰 위기가 닥쳐오고 있다"고 운을 뗐다.

우리금융 노조는 "그동안 수많은 기업들에 자금줄 역할을 해온 우리금융그룹 또한 책임이 요구되는 엄중한 시기임에도 ‘펀드사태 제재’를 악용한 친정권의 유력 인사들이 차기 우리금융 회장을 노리는 등 우리금융 흔들기를 통해 CEO 리스크를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금융노조의 이러한 발언은 금융원회가 이날(9일) 정례회의를 열고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 관련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제재안을 상정하기로 한 사안을 가리킨 것이다.

금융위는 당초 손 회장이 금감원과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관련 문책경고 등 취소 청구 소송을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다른 사모펀드 사태 관련 제재 의결도 미뤄왔다. 손 회장은 문책경고 등 취소소송에서 2심까지 모두 승소했고 현재 대법원 판결만 남겨두고 있다.

우리금융 노조는 "금융당국은 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징계수위를 법원 판결이 나온 후 정하겠다며 심사를 1년 넘게 미뤄오다가 갑자기 제재를 논의하게 된 배경을 설명해야 한다"며 "금융위는 우리은행이 리스크를 인지했다고 하며 부당권유를 주장하고 있지만, 우리은행은 이를 인지한 사실이 없고, 타행(신한, 하나은행) 등의 경징계와 달리 우리은행에 중징계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리금융 노조는 "우리금융은 전 임직원이 혼신의 노력을 다해 23년 만에 완전민영화에 성공했다"며 "이제 우리금융은 완전민영화를 통해 지배구조가 완성됐고,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한 최고의 금융그룹으로 성장을 앞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금융 노조는 "이 가운데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 권력에 의탁한 일부 인사들의 관치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우리금융노조 협의회는 이번 제재의 과정과 결과를 끝까지 주시할 것"이라며 "이를 빌미로 무리한 중징계를 통해 현 우리금융지주 CEO를 몰아내고, 관치인사를 시도하는 ‘우리금융 흔들기’가 계속된다면 강력한 투쟁으로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