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증권사를 둘러싼 흉흉한 소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09 15:36

윤하늘 금융증권부 기자

2022101301000419600019081

최근 증권가에서는 ‘구조조정설(說)’이 줄지어 나오고 있다. 소문에 휩싸인 증권사들은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하면서 법적대응을 언급하는 등 강경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침체된 분위기를 반영한 결과이기에 이변이 없는 한 인력 감축 ‘한파’가 몰아칠 것이라는 예상이 강한 상황이다.

증권사 내부에서도 채권운용 부문서 인력이 이탈한지 오래다. 금리 급등으로 평가손실을 크게 입은 탓이다. 리서치센터 등 증권사 영업을 백업하는 부서도 좌불안석이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그간 PF 비중이 컸던 증권사들의 계약 직원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재계약이 불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설’은 지난 2013년부터 시작된 증권사 구조조정과 닮아있다. 2013년 말 증권사 임직원 수는 4만241명에서 2014년 말 3만6615명으로 9%가량 줄었다. 당시에도 기준금리 인상, 증시 거래대금 축소가 주된 이유였다.

2013년과 다르게 증권사 수익 비중에서 브로커리지(위탁매매)가 줄고 투자은행(IB)부문이 늘어났지만, 부동산 PF 부문서 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만큼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아직 구조조정이 가시화되지 않았지만, 직원들의 불안감에 증권사 내부는 뒤숭숭한 상태다. 인건비를 줄여 수익성 악화를 최대한 막자는 목적으로 구조조정을 하는 것은 이해된다.

증권사들은 최근 몇 년 새 역대급 실적을 자랑하며, 인력 채용에 힘을 써왔다. 업황이 좋으니, 우수 인력도 이동이 많아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뽑고 싶어도 뽑을 수 없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이번 사태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증권가에서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구조조정이 단기 수익을 목적으로 자본시장 발전을 어렵게 하는 것이 아닌지, 우수 인력 유출로 인한 ‘손해’가 되돌아오는 것은 아닌지 신중하게 생각할 때다.
윤하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