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시중은행의 예금창구. 연합 |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252조1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6조8000억원 늘었다. 특히 정기예금이 56조2000억원이나 급증했다. 2002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반면 수시입출식예금에서는 44조2000억원이 빠져나갔다. 정기예금 등 저축성예금으로 자금이 이동하고,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기업·가계 자금이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산운용사의 수신도 10월 한 달간 4조4000억원 늘어 9월 12조4000억원 감소에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분기 말 계절 요인 해소, 국고 여유자금 유입 등 영향으로 머니마켓펀드(MMF)가 6조4000억원 증가했고 주식형펀드(+3조1000억원)와 기타 펀드(+3000억원)도 늘었다. 반면 채권형펀드에서는 4조7000억원이 빠져나갔다.
수신이 아닌 여신(대출) 상황을 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58조8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000억원 줄었다. 10월에 가계대출이 줄어든 것은 역대 처음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작년 12월 이후 줄곧 감소하다가 4∼6월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후 7월(-3000억원), 8월(3000억원), 9월(-1조3000억원)까지 늘고 줄기를 반복하다 10월(-6000억원) 2개월 연속 뒷걸음쳤다.
가계대출 가운데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94조8000억원)은 한 달 사이 1조3000억원 늘었다. 이 가운데 2000억원은 전세자금 대출 증가분이었다.
하지만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262조8000억원)이 1조9000억원 줄었다. 10월 기준 첫 감소일 뿐 아니라 지난해 12월 이후 11개월째 내리막이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도 지난달 2000억원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증가 폭은 2조원으로 9월(1조9000억원)보다 소폭 확대됐고,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2조2000억원 줄었다. 업권별로는 가계대출이 은행권에서 6000억원 줄고, 제2금융권에서는 4000억원 늘었다.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