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산, 수출 확대 핵심 키워드 '절충교역·국산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10 14:53

K-방산, '모자이크전' 등 현대戰에 강점… 수출 확대 전망

"절충교역 정부 지원·부품 국산화 등 중장기적 전략 필요"

천무

▲지난 4일 폴란드 정부와 35억달러(약 5조원) 수출 계약을 체결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천무.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K-방산이 올해 수출액 170억달러(약 24조원)를 넘기며 고공행진하고 있다. 국내 방산의 강점으로 △ 화력 위주 무기체계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표준 호환성 △ 가격경쟁력 등이 꼽힌다. 방산전문가들은 한국이 향후 수출액 200억달러(약 28조원) 돌파 및 세계 4위 수출국 자리를 넘볼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절충교역 정부지원’과 ‘부품 국산화’ 등 중장기적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10일 KDB미래전략연구소가 발행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한국 방위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전의 새로운 전술인 모자이크전(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소규모 부대를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도록 배치하고 이들을 조합해 임무를 수행하는 전술 개념) 확대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K-방산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전에서는 감시·정찰·정보 분야를 NATO와 유럽연합(EU) 등 연합체에서 제공받고, 직접적인 작전 수행은 각국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나뉠 것으로 예상되고 이때 화력에 중점을 둔 K-방산의 자주포, 전차, 대공방어체계가 화력 투사에 의한 작전 수행에 탁월한 능력을 보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K-방산 제품들은 NATO 목록제도를 따르고, STANAG(NATO 군용 기술 규격서)와 MIL-STD(미 국방성 미군 규격서)를 염두에 두고 설계 및 생산돼 관리와 유지·정비 면에서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강달러 기조에 미국산 장비 대비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인다. 이를테면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는 독일의 ‘PzH-2000 자주포’와 비교해 성능은 비슷하지만 가격은 3분의 1 수준이다.

방산 전문가들은 수출 확대를 방안으로 ‘절충교역 정부지원’과 ‘부품 국산화’를 제시했다. 대부분의 군수품들은 정부주도로 개발되기 때문에 방산 기술의 소유권은 정부에게 있다. 방산 수출은 국가 대 국가(G2G) 거래라고 불리는 만큼, 절충교역(무기 판매국이 수입국에 기술이전 등을 반대급부로 제공하는 교역 형태)상 금융지원·비군사 분야 지원 등 국가 지원이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제품에 대한 국산화율도 중장기적으로 높여야 한다. 국산화율이 낮은 경우 일부 부품 제공국의 외교·군사적 이해관계에 따라 장비 수출이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방산업계도 이를 인지하고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019년부터 ‘항공소재개발연합’을 출범시켜 현재까지 총 81종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한화디펜스는 2014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올초 개발 완료한 ‘120mm 자주박격포’의 국산화율을 96%까지 끌어올렸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방산 기술 소유권은 정부가 가지고 있는 만큼, 수출에 있어 그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민간 업체들은 현지 맞춤형 무기체계 개발과 동시에 부품 국산화, 유지보수(MRO) 솔루션, 생산성 제고 방안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lsj@ekn.kr 

이승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