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전경련 '납품단가연동제 정책토론회'
![]() |
▲10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납품단가연동제 정책토론회’에서 조인숙 연세대 교수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전경련 |
조인숙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한 ‘납품단가 연동제 정책토론회’에서 "납품단가 연동제가 비용 상승에 따른 이익 축소로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교수는 "통상 위탁기업은 수탁기업의 비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며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 시 수탁기업이 비용 인상 요인을 위탁기업에 떠넘기고 생산비 절감을 위한 경영혁신을 소홀히 하는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으로 비용이 상승한 기업은 최종재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며 "제품 수요 감소로 기업 이익이 축소돼 결국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킨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납품단가연동제가 산업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신뢰를 바탕으로 장기적 계약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재 일부 기업에서 자발적으로 시행 중인 납품대금 연동제 시범 사업이 산업현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이후에 연동제 관련 정책을 설계해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김병태 영산대 교수는 종합토론에서 "납품단가연동제를 법제화해 의무화하는 것은 관련 법률이 보장한 계약당사자의 대등한 법적 지위와 민사법상 계약자유의 원칙과 같은 계약의 일반원칙을 위반한다"며 "경제 자유의 원칙 등 헌법상 일반 원칙도 위반하는 등 심각한 법률적 문제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계약 당사자 간 자율적 문제 해결이 우선돼야 하고 계약 당사자가 자율적으로 납품단가 연동제 계약을 체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현행 납품단가 조정 협의 제도를 개선해 활성화시키는 게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라고 제언했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대기업 제품 가격이 상승하면 중소기업의 생산비용도 상승하게 된다"며 "납품단가 연동제는 소비자 가격 인상과 소비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고물가 시대에 매우 부적합한 정책"이라고 말했다.
정회상 강원대 교수는 "위탁사업자가 부담을 회피하기 위해 계약기간을 단축하거나, 부품단가 자체를 낮추는 등 다른 거래조건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며 "수급사업자가 원자재 가격 변동 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보험 등을 개발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양준석 가톨릭대 교수는 "단기적으로 중소기업을 보호해주는 제도로 간주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노력을 약화할 수 있어 장기적인 유효성은 의문스럽다"며 "납품 가격의 공정성에 대한 평가, 중소기업의 판매처 다양화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