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손’ 화물연대? "저번 총파업 덕에 안전운임제"...민노총 "투쟁 2막"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2.09 16:42
화물연대 파업 종료

▲화물연대가 파업을 종료하고 현장 복귀를 결정한 9일 오후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 앞에서 관계자가 도로에 세워둔 화물차들에 붙어있던 파업 관련 현수막을 철거하고 있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조합원 투표를 거쳐 15일 만에 총파업을 끝낸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정부·여당을 거듭 비판하며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화물연대는 9일 총파업 종료 성명을 통해 "화물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과 동료·시민의 안전을 지키고자 안전운임제 지속·확대를 향한 여정을 결코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안전운임제 일몰 폐기와 품목 확대를 앞으로도 지속해서 요구하겠다는 것이다.

노조는 "정부·여당의 폭력적 탄압으로 우리의 일터가 파괴되고 동료가 고통 받는 모습을 더 지켜볼 수 없어 파업 철회와 현장 복귀를 결정했다"며 "앞으로 우리가 발 딛고 선 현장에서부터 물류산업을 바꿔나갈 것을 결의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안전운임제는 화물노동자의 생존과 국민 안전을 지키고 물류산업의 장기적 발전을 만들어가기 위한 제도"라며 "6월과 11월 두 번의 총파업을 통해 이 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냈다"고 자평했다.

화물연대 상위 노조인 공공운수노조도 이날 성명에서 "화물연대가 현장 복귀를 결정한 건 일몰 위기에 놓인 안전운임제를 지키기 위한 결단"이라며 "이는 투쟁의 2막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도 일몰을 반드시 막아내고 전 품목과 차종으로 제도를 확대하는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공공운수노조는 10일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산업은행 앞에서 안전운임제 사수를 위한 결의대회를 한다. 화물연대 현장 복귀 후 열리는 첫 집회로 조합원 1000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앞서 화물연대는 이날 조합원들을 상대로 파업 종료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 61.84%(2211표), 반대 37.55%(1343표)로 파업 종료의 건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무효표는 21표(0.58%)였다.

투표는 화물연대 조합원 2만 6144명 중 3575명이 참여해 투표율 13.67%를 기록했다.

16일째 이어진 파업에 지친 일부 조합원들이 현장을 이탈하고 파업 참여 열기가 낮아지면서 투표율이 저조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애초 화물연대 파업은 민주노총 ‘동투’ 시작점이었다.

민주노총은 화물연대를 중심으로 서울대병원 노조, 학교 비정규직 노조, 서울교통공사 노조, 전국철도노조로 이어지는 ‘줄파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들 노조가 줄줄이 파업을 접거나 노사 협상을 타결하며 화물연대는 점차 고립됐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