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핀다 고객 중 올해 금융사기 상담을 가장 많이 요청한 연령대는 50대였고, 이어 60대로 나타났다. 상담 유형별로 보면 50대는 보이스·문자피싱(40%)이 가장 많았고, 파밍·스미싱(36%), 명의도용(20%)이 뒤를 이었다. 60대에서는 파밍·스미싱(36%)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고, 보이스·문자피싱(29%), 명의도용(29%)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사기 범죄에 취약한 5060세도 핀다 앱으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핀다가 핀테크 최초로 도입한 악성 앱 탐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가 사용자 휴대폰에 존재하는 악성 앱을 탐지하면 발견 즉시 이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악성 앱 삭제 등 조치를 권고한다. 핀다에 따르면 페이크파인더 도입 한 달 만에 1100여건의 악성 앱을 발견해 하루 37명 꼴로 금융사기 피해를 막았다.
본인 소유의 휴대폰 기기에서만 핀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본인인증 시스템도 강화한다. 핀다는 이달 중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본인 인증 시스템을 강화한 MO(Message Oriented)인증 시스템을 추가할 계획이다. MO인증은 통신사에서 전달하는 발신 번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만큼 허위 메시지 발신을 통한 보이스피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핀다 앱 위변조 방지와 소스코드 난독화, 암호화 등 다양한 기능도 적용했다. 단순히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명을 변경하는 것이 아닌 소스코드 흐름을 변경하고 문자열을 암호화해 한층 강화된 보안 수준을 갖췄다. 또 금융 준법 경영(컴플라이언스) 준수 목표를 달성하고 사용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랩의 보안 특화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안랩 클라우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핀다 앱 설치만으로 휴대전화 기기의 악성 앱을 탐지할 수 있고 강화된 본인인증 절차와 앱 위변조 원천 차단 기능 등 핀다 서비스 자체가 금융 사기 방패막이 될 수 있게 전방위적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