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1월 1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양도세 중과 폐지 등 세부담 축소 기대감 급매 줄어
서울 규제지역 해제 효과는 다음 주부터 반영
![]() |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연합뉴스 |
5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 번주(2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0.67% 하락했다.
지난주 -0.74%에 비해 낙폭이 0.07%포인트 줄어든 것이면서 지난해 4월 첫째 주 조사 이후 9개월(39주) 만에 하락폭이 둔화한 수치다.
서울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감소한 것은 정부가 2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중과 폐지, 양도세 중과 1년 추가 유예 및 제도 개선 검토 등 세부담을 대폭 줄여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완화하는 등 전방위 규제완화에 나선 영향이다.
이날부터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21개 구가 모두 규제지역에서 풀림에 따라 다음주 아파트값 조사에서는 하락폭이 더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매도자들은 금리 인상에 따른 거래 침체 속에 세부담이 줄면 급하게 팔 이유가 없다며 지난달 하순부터 일부 급매물을 거둬들이거나 매물 출시를 철회하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는 5일 현재 5만1180건으로 한 달 전(5만7020건)에 비해 10.2%, 15일 전(5만2278건)에 비해 2.2% 감소했다.
‘급급매’ 소화도 빨라졌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79㎡는 지난달 19억5000만∼18억9000만원 선에서 4건의 거래 신고가 이뤄졌다. 지난해 5월에 25억원에 팔린 것들이다.
잠실 리센츠 전용 84㎡는 현재까지 지난달 14일 계약 건으로 19억8000만∼21억1000만원에 3건이 신고됐고, 잠실 엘스 전용 84.8㎡도 지난달 최고 21억3000만원에 계약돼 지난해 8월(23억1000만원) 이후 가장 높은 금액에 계약되기도 했다.
구별로 노원(-1.17%)·강북(-1.12%)·강북(-0.86%) 등 강북 지역의 하락폭이 여전히 높았지만 지난주 보다는 낙폭이 소폭 둔화했다.
강남권도 하락폭이 줄었다. 강남구는 지난주 -0.44%에서 금주 -0.41%, 서초구는 -0.55%에서 -0.38%로, 송파구는 -0.49%에서 -0.37%로 각각 줄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