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업계, 올해 전망 '암울'…친환경 전환 위한 정부의 규제 해결이 필요
양기욱 산업부 정책관 "친환경 기술 개발 및 규제정비 등 적극 지원할 것"
![]() |
▲에쓰오일 울산공장 전경 |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석유화학업계가 올해 역시 글로벌 불확실성에 유럽연합(EU), 미국 등 주요국의 환경 규제 강화로 쉽지 않은 한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정부는 업계의 이러한 요청에 대해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인 석유화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 기술 개발과 관련 규제 정비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26일 오전 10시께 한국석유화학협회에서 ‘석유화학업계 실무 간담회’를 개최해 국내 석화업계의 수출 및 투자 여건을 점검함과 동시에 애로 사항을 청취했다.
이날 자리에는 양기욱 산업부 산업공급망정책관을 비롯해 한국석유화학협회와 LG화학, 한화솔루션, 롯데케미칼, SK지오센트릭, 에쓰오일 등 석화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석유화학 수출은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한 543억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역시 글로벌 공급 과잉,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석화업계는 세계 ‘넷제로’ 추진 흐름을 타고 친환경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친환경 전환 및 설비 신증설에만 투자된 비용(국내 한정)은 2조4000억원 규모다.
주요 투자 사례로는 LG화학의 열분해유 생산시설과 PBAT, POE 등 친환경제품 생산 투자, 에쓰오일의 샤힌프로젝트 등이 꼽힌다.
해외로도 보폭을 넓히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최근 미국 태양광 사업의 가치 사슬 완성을 꾀하고자 3조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올해에도 글로벌 분위기에 맞춰 친환경 투자 프로젝트를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문제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와 UN 플라스틱 협약 등 환경 관련 규제 등이다. 업계는 정부가 나서서 환경·입지 규제 등의 해결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로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지난 19일 ‘제5차 수출 애로 타개 및 확대를 위한 업종별(바이오·석유화학·섬유 산업) 긴급 대책 회의’에서 석유화학과 관련해 "올해 중국 등의 설비 증설로 인한 과잉 공급과 글로벌 수요 감소로 인해 수출이 어려울 전망이나 더 큰 문제는 미국의 청정경쟁법, EU의 CBAM 도입 추진 등으로 인해 친환경 기준이 강화되는 것"이라며 "친환경 설비 투자 등의 분야에서 정부 R&D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평중 한국석유화학협회 본부장도 "산업단지 규모별 일정 비율 이상의 녹지 확보 규정으로 인한 여유 부지 부족으로 인해 설비 증설과 친환경 전환 투자 시 어려움이 크다"면서 "녹지율 축소 또는 대체 녹지 확보를 통한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하기도 했다.
업계의 요청에 양기욱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석유화학산업의 수출경쟁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친환경 기술개발, 규제정비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석유화학 업계와 정부가 한 팀이 되어서 위기 극복을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