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 확대에 2036년까지 45조 투입…"화재 예방이 관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1.30 11:27

산업부,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전담팀(TF)’ 출범



"올해 상반기까지 산업 발전전략 수립"

2023013001001393800063721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내부의 모습.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대를 위해 2036년까지 총 45조40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ESS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할 계획을 알렸다. ESS 산업은 화재 사고 등으로 침체기를 겪은 만큼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산업 육성의 중요 과제로 꼽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서울 강남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에너지 스토리지(저장장치) 산업정책 전담팀(TF)’을 출범하고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산업부는 ESS는 전력을 저장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의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이 가능해 전력 시스템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날씨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다르다. 해가 뜨면 태양광은 발전하지만 해가 지면 발전하지 못한다. 풍력도 바람 세기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진다.

재생에너지가 늘어날수록 날씨에 따라 전력 수급이 일정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낮에 태양광에서 생산한 전력을 ESS에 일부 저장하고 밤에 ESS에 저장한 전력을 꺼내 써서 전력 수급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블룸버그신에너지금융연구소(BNEF)에 따르면 ESS 산업 시장은 지난 2021년 110억달러(약 13조원)에서 2030년 2620억달러(약 322조원)까지 약 24배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부는 최근 확정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통해 2036년까지 총 출력용량 26기가와트(GW)의 ESS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대 45조4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과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완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려면 장주기·대용량 ESS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지난 2014년부터 ESS에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발급해 지원했다. ESS에 저장한 전력에는 추가 전력수익을 보장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ESS에 대한 REC 지원은 화재사고와 전력수급 기여도 하락 등으로 지난 2020년에 사라졌다.

ESS 사업자들이 ESS를 전력수급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지 않고 추가 REC 수익을 올리는 데 집중했다고 지적받았다. 불필요하게 ESS에 전력을 많이 저장했다는 의미다.

ESS 화재사고는 ESS 지원 정책이 사라지는 데 결정타였다. ESS화재는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간 총 32건 발생했다고 알려졌다.

ESS 지원 정책이 사라지자 ESS 보급은 저장용량 기준으로 지난 2018년 3.8기가와트시(GWh)에서 지난해 0.2GWh로 5.3% 수준으로 줄었다.

한 ESS 업계 관계자는 "ESS 사업이 화재사고로 침체된 바 있다"며 "ESS 화재를 예방할 기술을 도입해야 보급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화재예방을 위한 기술 개발 내용 등을 담은 정책연구용역을 다음 달에 추진하고 올해 상반기까지 ESS 발전전략을 확정할 예정이다.


wonhee4544@ekn.kr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