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연매출 42조4460억원·영업이익 3조4081억원
작년 4분기 영업적자 1575억원… "재고평가 손실 탓"
올해 "샤힌 프로젝트의 원년으로 총력 다할 것"
![]() |
▲에쓰오일 2022년 4분기 및 연간실적 |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에쓰오일이 지난해 연간 매출액 42조4460억원을 거뒀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제품 판매단가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4.6% 늘어난 규모다. 다만 4분기만 보면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 등 일회성 요인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그러나 에쓰오일은 올해를 ‘샤힌 프로젝트’의 원년으로 잡고, 전사적으로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42조 4460억원, 연간 영업이익은 3조4081억원을 실현했다고 1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정제 설비 부족 및 지정학적 공급 차질 속에서 석유수요 회복에 따른 높은 국제 정제마진과 윤활부문의 수익 개선 및 효율적인 시설 운영에 힘입어 전년 대비 59.2% 늘었다.
사업부문별로는 정유부문은 2조3465억원, 윤활부문은 1조110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반면 석유화학부문은 489억원 적자다.
4분기만 보면 매출액은 10조 5940억원, 영업손실 157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유가 하락으로 인한 판매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4.8%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견조한 마진이 지속되고 있으나,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 등 일회성 요인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로 전환했다.
연간 순이익은 2조1068억원을 달성했다. 에쓰오일은 이 순이익을 회사의 지속성장과 한국의 에너지 전환 지원을 위해 추진하고 이는 9조원 규모의 석유화학 프로젝트 ‘샤힌 프로젝트’와 주주들에 대한 배당 및 재무건전성 강화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샤힌 프로젝트는 에쓰오일이 추진하는 울산 2단계 석유화학 프로젝트다. 에쓰오일은 9조2580억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 안에 스팀 크래커(기초유분 생산설비)를 비롯한 대단위 석유화학 생산 설비 건설 계획을 세운 상태다.
알 카타니 에쓰오일 CEO 역시 지난달 27일 서울 과천에서 열린 임직원 신년 트래킹 행사에서 "지난해 어려운 경영 환경과 불확실성 속에서도 최고의 재무적 성과를 달성했고, 샤힌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승인을 받아 더 큰 성장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며 ‘샤힌 프로젝트’ 성공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것을 당부한 바 있다.
올해 경영 환경과 관련해선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인한 중국 내수 수요가 반등하면서 내수 소비 물량 증가로 인한 수출 여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정제설비가 단기적으로 수요 증가보다 설비 순증설이 하회해 타이트한 수급상황이 지속되다가 2025년 이후부터는 신규 정제설비의 순증설이 현저하게 감소해 공급 부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유제품 생산에 대해서 "주요 기관들의 글로벌 석유 수요 성장 전망에 따르면 중국 내수 및 글로벌 항공유 수요를 중심으로 글로벌 석유 수요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다"면서 "리오프닝 수요 회복으로 인해 글로벌 석유수요는 2024년까지 팬데믹 이전 평년을 웃도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