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 ‘역대 최저’…추가 규제 완화로 ‘거래절벽’ 해소될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2.08 15:50

지난해 서울 아파트 거래량 총 1만5384건에 불과...올해도 부진 이어져



아파트 미분양 사태·건설사 위기 겹쳐 ‘거래절벽’ 심화 우려 커져



전문가 "규제 완화로는 거래절벽 해소 어려워"

PYH2022121105130001300_P4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역대 최저’를 기록한 가운데 ‘거래절벽’ 현상이 올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추가적인 규제 완화를 제시하면서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사진은 아파트 시장 거래절벽이 일어나고 있는 서울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소를 기록한 가운데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전 지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돼 올해도 ‘거래절벽’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주택 거래량 5만6007건 중 아파트 매매 비중은 27.5%에 해당하는 1만5384건으로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숫자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 빌라 매입 비중은 61.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처럼 서울에서 아파트 매입이 줄고 대신 빌라 매수가 역대 최고치 기록한 이유는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과 부동산 시장 하락세 지속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 상승 기대감 추락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발생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이날 기준 77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여파가 엄습했던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입건수가 월 평균 1282건을 기록한 것을 감안할 때 더 낮아진 수치이며 통상 1~2월이 방학 이사철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더욱 심각한 숫자이다.

올해 초 정부의 1·3대책을 통한 규제완화 영향으로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서울 내 거래절벽 해소에 대한 청신호가 잠깐 켜졌던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주택가격과 예상보다 더딘 규제완화 효과로 인해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되다 보니 서울 내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부진을 이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꺾인 요즘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올림픽파크 포레온)’의 흥행 실패 여파로 서울에서 족족 미분양 아파트가 발생하고 완판된 줄 알았던 서울 마포구 아현동 ‘마포더클래시’ 아파트 분양 물량의 절반 이상이 미계약된 것으로 알려지자 위기감을 느낀 수요자들은 값비싼 아파트 거래를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최근의 미분양 폭증 사태는 건설사들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전날 업계에 따르면 상장 건설 업체인 대우건설은 아파트 미분양 사태가 연이어 발생하자 아파트 시공권을 반납하고 대출 보증을 섰던 440억원을 자체 상환했다.

이러한 현상들이 한꺼번에 겹치면서 올해도 서울 아파트 시장에 거래절벽이 심화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거래절벽 심화에 대한 우려가 늘어나자 금융 당국은 거래절벽 현상을 해소하고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추가 규제 완화를 제시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주 새해 업무보고에서 다음달 말부터 다주택자도 부동산 규제지역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받을 수 있도록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30%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해당 대출 규제 완화를 시행한 후 부동산 시장 경색이 지속될 경우 대출 규제 추가 완화를 검토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규제 완화로 인해 거래절벽 현상이 해소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현재는 규제 완화로 인한 거래량 증가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최근 수년간 집값 상승을 고려했을 때 거래절벽 현상이 해소되려면 추가적인 가격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대표는 이어 "최근 들어 전세가격 또한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어 수요자들이 주거지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서두를 것이 없는 상황"이라며 "이후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있더라도 수요 증가를 불러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daniel1115@ekn.kr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