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권 청년 일자리 간담회에서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금융위) |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 열린 ‘금융권 청년 일자리 간담회’에서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금융IT(정보기술) 등 새로운 부문의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금융보안, 자금세탁 방지, 내부통제 등 관련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회사가 금융 사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경우 신뢰 하락 등 막대한 손실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인력 확충을 비용이 아니라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간 경계가 무너지는 ‘빅블러’ 현상 속에서 금융회사는 마이데이터, 클라우드 등 금융 신 부문 관련 전문 인력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 부위원장은 아울러 "비대면 거래 확대로 디지털 약자, 소외계층 등이 금융 서비스 이용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기본적인 금융 채널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인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금융권 채용정보에 대한 청년 접근성을 강화하고, 금융권의 실물경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년 창업, 벤처·스타트업 등 혁신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강화하고 일자리 우수 기업에 대한 금리 우대 등으로 실물과 금융 간 선순환 구축에 기여해달라"고 당부했다.
금융위는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국의 고강도 긴축 등 대외 여건 악화로 올해에도 고용시장이 어려울 수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월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만1000명 감소했다.
금융권은 향후 채용계획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8월 말 열리는 공동 채용 박람회 참여를 강화하는 등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각 금융권 협히는 간담회 이후 올해 상반기 채용 계획도 별도로 발표할 예정이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