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예측 정확도를 가진 고분자-인공지능 시스템 구축
![]() |
▲ 고분자 물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자료=성균관대) |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유기 화학 반응의 결과를 예측하는 연구가 학계에 활발히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선 대규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을 학습시켜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에 필요한 충분한 양(천 개 이상)의 고분자의 데이터가 구축 또는 배포돼 있지 않다.
성균관대(총장 유지범) 강보석 교수 연구팀은 과거 연구자들이 축적한 CNT/ABS 고분자와 관련된 만 개 이상의 대규모 데이터를 모아, 이를 학습에 활용할 뿐만 아니라 이에 적합한 모델 구조를 설계했다. 그 결과 훈련되지 않은 데이터에서도 인공지능 모델에게 공정 정보를 입력하면 고분자 물성을 매우 우수한 정확도로 예측했다. 하지만 반대 과정인, 원하는 물성의 고분자를 합성하기 위한 최적의 공정을 탐색하는 과정은 정의역이 여러 개의 치역에 대응되는 문제이기에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이 발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 교수팀은 몬테 카를로(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기존 과정과 결합해 원하는 물성의 고분자를 합성 가능한 최적의 공정을 탐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강보석 성균관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축적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인공지능을 학습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인공지능 모델 구조를 개발함으로써 높은 예측 정확도를 가진 고분자-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며 "또한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실험 비용과 시간을 대폭 낮출 수 있어 높은 산업적 효용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 |
▲(왼쪽부터) 성균관대 강보석 교수(교신저자), 고종환 교수(교신저자), 소창록 석사과정생(제1저자), 김영신 석사(공동 제1저자) |
![]() |
▲ 논문 표지 이미지 (자료=성균관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