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금융감독원. |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신규 연체율(1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11월 말 대출 잔액)은 0.07%로 전월보다 0.01%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하반기중 신규 연체율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하반기 신규 연체율은 7월 0.04% 수준에서 8∼9월에는 0.05%, 10∼11월에는 0.06% 수준까지 오른 후 12월에 0.07%로 상승해 점진적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1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000억원 증가했다. 신규 연체 발생액은 지난해 7월 9000억원에서 8∼9월 1조1000억원, 10월 1조2000억원, 11월 1조4000억원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연체 채권 정리 규모는 1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1000억원 증가하며 누적 연체율은 하락했다.
지난해 12월 말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25%로 전월 대비 0.02%포인트 낮아졌다. 신규 연체 발생액은 전월 대비 늘었으나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연체율이 떨어졌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은행은 통상 분기 말에 연체 채권 관리를 강화해 연체율은 분기 중 상승했다가 분기 말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