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코시스센터 다목적홀에서 개최한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최근 금융시장에 대한 인식과 자본시장 정책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공매도 허용 또는 금지 여부는
시장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지난 24일 외신 간담회 질의응답에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되느냐는 질문에 "선진화 과제라는 게 많은데 공매도도 일부"라며 "공매도는 명시적으로 어떻게 하겠다고 선언하기 어렵고 시장 상황을 보고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매도는 상당히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어 지금은 어느 정도 시간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면서 "중장기적으로 보면 좀 더 선진화된 제도로 가지 않을까 본다"고 했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은행의 지배 구조 개편 등과 관련한 관치 논란에 "잘 할 수 있는 사람이 하고 선임 과정에서 공정한 상황이 된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는데 현재 상황은 꼭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어 전반적인 제도 개선을 하겠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3월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은행의 경우 경쟁 촉진이나 지배구조 개선을 생각해 볼 것"이라며 "금리체계 개선, 예대금리차, 성과급, 퇴직금, 보수 체계, 손실흡수 능력, 비이자 이익 부분 확대, 사회공헌 활성화 등도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기존보다 금융 안정과 소비자 보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은행의 공공성을 강조한다고 해서 경쟁력에 반대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증권형 토큰에 대해 "규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발행과 유통을 허용하자는 것"이라면서 "선량한 투자자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 지수 편입에 대해서는 "우리가 선진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MSCI 지수에 편입되면 좋은 일이지만, 이는 궁극적인 목표라기보다는 목표로 가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