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천정부지'…건설사는 미분양 방지 마케팅 '올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15 16:08

1월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 역대 최고치



건설사들 현금지급·분양가 할인 등 마케팅에 총력



전문가 “단 기간 끝날 문제 아냐”…정부 개입도 시사

KakaoTalk_20230302_152626119

▲전국 아파트 분양가가 끝없이 올라가면서 건설사들이 현금지급 및 분양가 할인 등을 통해 미분양 방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 사진은 ‘미분양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대구에 건설 중인 한 아파트 단지. 김다니엘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전국 아파트 분양가가 천정부지 치솟으면서 건설사들이 미분양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의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 분석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역대 최고치인 3.3㎡당 1571만5000원을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2018년 1월(1036만2000원) 이후 5년 만에 51.66% 급등했고 최근 6개월 연속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여기에다 특히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000만원을 넘어서면서 미분양에 대한 우려는 커져만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474만원으로 2021년(2798만원) 대비 24.2%(676만원) 올랐으며 상승률 또한 2012년(25.4%), 2018년(29.8%)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큰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5.7%), 2020년(1.3%), 2019년(-6.8%) 등 최근 수년과 비교하면 더욱 도드라지는 수치다.

이처럼 짧은 기간에 서울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급등한 것은 공시지가와 원자잿값 상승이 주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분양가는 택지비 및 기본형 건축비에 가산비를 더한 값으로 결정되며 택지비의 책정 기준이 되는 것이 공시지가이다. 지난해 서울의 공시지가 상승률은 13년 연속 상승했으며 11.21%를 기록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여기에 원자잿값 인상으로 인해 기본형 건축비 또한 상승했으며 고금리 등의 악재도 더해져 분양가를 낮추는 것은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처럼 끝을 모르고 올라가는 분양가의 영향으로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늘어만 가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7만5359가구이며 수도권은 1만2257가구에 달해 상반기 중 전국 미분양 물량이 심각 수준인 10만가구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건설사들은 시간이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분양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각종 대응책을 내놓고 있다.

DL이앤씨와 코오롱글로벌이 경기 안양시 호계동에 시공하는 ‘평촌센텀퍼스트’는 본 청약에서 0.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후 지난달부터 10% 인하된 가격에 분양을 시작했으며 발코니 확장 등의 혜택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분양을 막기 위한 마케팅은 지방으로 내려갈수록 더욱 과감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라온건설이 대구 수성구에 시공하는 ‘시지 라온프라이빗’은 입주 시 해당 아파트 전용면적 84㎡(최대 7억9980만원) 분양가의 10%에 해당하는 7000만원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이에스앤디와 GS건설이 수성구에 공동으로 시공하는 ‘만촌 자이르네’는 기존 분양가에서 25%가량을 인하했다. 만촌 자이르네는 앞서 고분양가 논란으로 한차례 소동을 빚은 바 있다.

분양대행사 한 관계자는 "타 지역의 경우에는 이러한 마케팅이 효과가 있겠지만 대구같이 미분양이 심각한 지역은 상황이 호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미분양 사태가 단시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시사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미분양 사태는 당장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에 건설사 입장에서는 손실을 보더라도 가격 인하 등의 마케팅을 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분양가상한제 및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분양가는 지속적으로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소장은 이어 "향후 수도권에서도 입지에 따라 미분양이 발생하는 단지들에서 이러한 마케팅이 이어질 것"이라며 "미분양 가구가 9~10만가구가 된다면 정부가 개입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daniel1115@ekn.kr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