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은행.(사진=에너지경제신문) |
23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40.6%로 집계됐다. DSR은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을 뜻한다. 가계대출 차주 평균 DSR이 40%를 넘은 것은 지난 2018년 4분기(40.4%) 이후 4년 만이다.
신규차입 차주의 DSR(17.3%)은 비교적 낮았지만, 기존 대출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대다수 차주의 DSR은 33.8%에서 38.4%로 높아졌다. 금리 상승 등의 영향을 받아 원리금 부담이 커진 것이다.
작년 4분기 기준 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68.1%(대출 비중 34.4%)는 DSR 40% 이하였다. 그러나 DSR 70%를 초과하는 차주가 전체의 15.3%(대출 비중 41.9%)로 7명 중 1명 꼴이었고, 100%를 초과해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은 차주도 8.9%(대출 비중 29.4%)였다.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취약차주는 작년 4분기 기준 전체의 6.3%, 평균 DSR은 66.6%였다.
한은은 "가계대출 차주의 DSR이 상승 추세지만, 금융권 관리기준(40∼50%) 이내여서 채무 상환부담 급증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단 주요국에 비해 가계부채 비율이 높고 고DSR 차주 대출잔액이 많아 점진적으로 가계부채 축소를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
▲서울의 한 은행 대출창구. 연합뉴스 |
한은은 고위험가구 중 12.2%가 점차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 변화를 추정했다. 그 결과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말 0.66% 수준에서 올해 말에는 1.0%까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권별로는 저축은행 및 여신전문사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과 여전사는 가계대출 고위험가구 대출 비중이 각각 26.6%와 16.6%로 은행(7.2%), 상호금융(11.6%), 보험사(12.4%)에 비해 컸다. 고위험가구 대출 중 신용대출 비중도 34.1%와 41.1%로 높았다.
다만 작년 말 기준 저축은행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3.3%(규제비율 7%), 여전사 17.8%(규제비율 7∼8%)로 손실 흡수능력이 양호해 기관 부실 우려는 크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은행은 고위험가구 대상 대출 비중이 낮아 연체율 상승 정도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 능력 제고와 연체 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며 "DSR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분할상환 및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꾸준히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