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기 프랜차이즈 '외화내빈'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27 16:42

공정위 2021년 가맹사업 통계

외식 가맹점 수 17만개 24%↑

평균매출은 전년比 1.4% 감소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이 극성을 부리던 지난 2021년에도 전국 외식 가맹점 수는 17만개로 불어났다. 그러나, 규모 확대와 달리 외식 가맹점의 평균 매출액은 2억7900만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1.4% 줄어 소상공업계 수익이 악화됐음을 보여줬다.

27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2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전국 외식 가맹점 수는 16만7455개로 전년과 비교해 23.9% 늘었다.

2013년 통계 작성 이래(2016년부터 발표) 최대치인데다, 증가율도 가장 높다. 당시 음식점들이 큰 타격을 받은 시기지만 배달·밀키트 전문점과 치킨·피자 등 포장·배달 가맹점이 늘어난 영향이다.

업종별로 보면 본죽 등 한식 가맹점 수가 3만6015개로 전년보다 39.8% 늘며 치킨 가맹점 수를 넘어섰다. 신규 점포 수가 많은 한식 브랜드 1∼3위는 ‘담꾹’(394개)·’김준호의 대단한갈비’(278개)·‘집밥뚝딱’(158개) 등의 밀키트 포장·배달 전문점이었다.

치킨 가맹점 수는 2만9373개로 전년보다 13.6% 늘었다. 매년 증가해오던 치킨 가맹점 수가 3만개에 육박하게 된 것이다. bbq(2002개)가 가장 많았고 bhc(1770개), 교촌치킨(1337개), 처갓집양념치킨(1241개), 굽네치킨(1095개) 순이었다.

커피 가맹점 수는 2만3204개로 30.0% 늘었고, 제과제빵은 8779개로 5.5% 증가했다. 피자 가맹점 수도 8053개로 14.7% 증가했다.

반면에 외식 가맹점당 평균 매출은 오히려 줄었다. 업종별로 보면 치킨(-2.2%), 한식(-6.0%), 피자(-6.5%)는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이 줄었고 커피(6.0%), 제과제빵(2.4%)은 늘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과 비교해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가맹본부가 받는 일종의 유통마진) 비율은 4.3%이고, 업종별로는 치킨(7%), 제과제빵(6%), 피자(5%) 등이었다. 외식업종의 개점률은 26.2%(연말 가맹점 수 대비 당해연도 신규 개점 수), 폐점률은 12.6%로 집계됐다.

외식·서비스·도소매 등 전체 업종을 아우르는 가맹점 수는 2021년 말 기준 33만5298개로 전년 대비 24.0% 늘면서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공정위는 "한식 업종, 운송 업종(가맹택시 사업 등), 편의점 업종 등에서 가맹점 수가 많이 증가했다"며 "대부분의 외식·도소매 업종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이 지속돼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감소하는 등 가맹점 운영의 어려움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inahohc@ekn.kr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