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 생분해성 플라스틱 리사이클 사업 진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29 09:10

네덜란드 토탈에너지스 콜비온, 한국 이솔산업과 MOU
2026년 기술개발 완료…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것"

사진자료 2. MOU사진

▲28일 인천 송도사옥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케빈 조 토탈에너지스콜비온 한국/호주 대표, 이상훈 포스코인터내셔널 본부장, 오흥기 이솔산업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PLA) 리사이클링 사업에 나선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날 인천 송도사옥에서 네덜란드 토탈에너지스 콜비온, 한국의 이솔산업과 ‘PLA 리사이클링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토탈에너지스 콜비온은 LA분야 글로벌 2대 제조사이며 리사이클링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이솔산업은 국내 PLA 시장 점유율 1위의 기업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자금 지원과 전체적인 기획·관리를 맡는다. 콜비온은 PLA생산 노하우를 활용해 리사이클링 플랜트 구축을 위한 기술 이전을 돕는다. 이솔산업은 리사이클링 사업에 필요한 폐 PLA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PLA는 옥수수전분이나 사탕수수로 만든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는 특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PLA 제품 사용량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리사이클링 관련 사업은 전무한 상황이다.

포스코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과 PLA 시장 전망. 자료=포스코인터내셔널

실제로 PLA 관련 사업은 기존 플라스틱 제품의 유해성과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고속성장하고 있다. PLA 시장은 2020년 19억2000만달러에서 2025년에는 56억5000만달러으로 전망되며 전체 바이오플라스틱 연평균 성장률보다 2.4%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PLA 사용량 증가는 자연스럽게 폐기물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만 2022년 기준 연간 8천톤 이상 발생하고 있어 폐 PLA를 활용한 리사이클링 산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PLA 리사이클링 기술개발을 2026년까지 완료해 리사이클링 산업을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솔산업과 폐 PLA 회수 캠페인인 ‘초록나비’ 를 시행하는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홍보활동도 꾸준히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PLA 리사이클링 기술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국가 순환경제 구축에 기여하고 사업화를 통해 회사의 신성장 동력의 하나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sj@ekn.kr

이승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