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타당성 검토 대비 기대이익 11배 증가…2352억→2조5771억원
SH공사, "시민 위한 공공자산 확보 및 가치 극대화하겠다"
![]() |
▲세곡2지구 사업성 분석 비교. SH공사 |
SH공사는 세곡2지구 사업 착수 전 사업성 검토 내용과 사업 종료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세곡2지구에서 분양주택 1833가구, 임대주택 1962가구 공급 및 민간 택지매각 10만9079㎡(전체면적의 14%)를 통해 2조5771억원의 개발이익을 거뒀다.
세곡2지구 투자비는 건축비 등의 감소로 사업성 검토 당시와 비교해 336억원 감소했다. 또한 임대주택 1962가구의 자산가치 2조4549억원이 추가 반영되면서 개발이익은 사업 착수 당시 목표로 했던 2352억원에서 2조5771억원으로 11배 증가했다.
이익이 증가한 데는 2009년 오세훈 서울시장의 방침으로 공공개발사업의 공공임대주택 의무비율을 25%에서 50% 상향하면서 세곡2지구에 공공임대주택을 많이 공급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곡2지구 택지조성원가는 3.3㎡당 780만원이었다. 하지만 현재 시세는 이보다 크게 올랐다. 세곡2지구 공사 소유 전용 84㎡ 공공주택의 시세는 현재 가구당 약 18억원, 가구당 토지 추정 가격은 약 14억원, 3.3㎡ 기준 토지가격은 7938만원으로 택지조성원가 대비 토지가격이 크게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세곡2지구에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을 공급할 경우 개발이익이 대폭 향상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세곡2지구 분양주택 1833가구를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으로 전환할 경우 현금 사업수지는 3949억원으로 악화되지만 공사소유 토지 자산가치가 증가해 개발이익은 4조3718억원(시세 기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H공사는 앞으로도 개발사업 추진 시 시민을 위한 공공자산을 충분히 확보해 공공자산의 가치를 증대한다는 계획이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앞으로 주요 사업지구의 사업결과를 계속 공개하여 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공사 경영의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