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85건…전월비 63.5% ↑
9개월 만에 반등…꼬마빌딩 매매가 전체의 71.8%로 인기
![]() |
▲지난 2월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이 85건을 기록하면서 9개월간 이어진 하락세를 끊어냈다. 최근 5년간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 추이. |
4일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월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은 85건으로 전월 대비 63.5%가 증가했다.
서울시 빌딩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4월 이후 연일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지난 1월에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9개월 연속 기록한 하락세가 지난 2월을 기점으로 반등한 것이다.
같은 기간 매매거래액은 5167억원으로 전월 대비 2.2% 감소, 전년 동월 대비 74.8% 감소했다. 거래량 증가에도 거래액이 줄어든 데는 꼬마빌딩을 위시한 소형빌딩 거래가 주를 이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월 서울시 빌딩 거래 85건 중 99%(84건)이 연면적 약 3300㎡ 미만의 소형 빌딩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꼬마빌딩(연면적 100㎡ 초과 3000㎡ 이하인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건수가 61건으로 전체 거래의 71.8%로 많았다.
거래 금액 역시 10억 이상 50억 미만이 39건으로 전체의 45.9%에 달했다.
자치구별로는 중구가 19건으로 거래가 가장 많았고 강남구 11건, 서초구 7건, 동대문구 6건, 성동구와 성북구가 각 5건으로 뒤를 이었다. 거래액은 강남구가 2004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성동구 791억원, 중구 565억원, 서초구 504억원, 송파구 182억원 순을 기록했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부동산은 시장이 불안정할수록 회복기에 대한 신호가 비교적 자금 흐름이 용이한 물건부터 찾아오기 마련"이라며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투자 적기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만큼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giryeong@ekn.kr